콘텐츠목차

최시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1742
한자 崔是翁
영어음역 Choe Siong
이칭/별칭 동강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화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인|유학자
출신지 전라북도 임실군
성별
생년 1646년연표보기
몰년 1730연표보기
본관 삭녕

[정의]

조선 후기 전라북도 남원에서 활동한 문인.

[개설]

최시옹은 천성적으로 영특하여 부모가 이를 염려하여 늦게 가르쳤다. 여러 스승 아래 공부하여 학문에 대성하였으나, 벼슬에는 뜻이 없어 여러 번 천거한 관직도 끝내 취임하지 않았다. 일생을 초야에 묻혀 시문(詩文)과 벗하여 지냈다.

[가계]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한신(漢臣), 호는 동강(東岡). 영의정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최항(崔恒)의 9대손이고, 좌윤(左尹) 최연(崔■)의 손자이며, 익위(翊衛) 최휘지(崔徽之)의 아들이다.

[활동사항]

최시옹은 3세에 고시를 암송하고, 8세에 공자기(孔子紀)를 읽다가 “학즉성인(學則聖人)이요, 불학즉불성인(不學則不聖人).”이라고 말하여 주위 사람을 놀라게 하였다. 19세에 향시(鄕試)에 합격하였으나, 24세에 아버지가 죽고 이어서 어머니마저 운명하자 벼슬이나 지위에 뜻을 두지 않았다.

동몽교관(童蒙敎官)·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공조정랑(工曹正郞)·남대지평(南臺持平)·광릉수(廣陵守) 등을 제수하였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다. 이후 영조가 특명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제수하고 여러 차례 불렀을 때도 그는 끝내 취임하지 않았다.

일찍이 “3형제가 공부할 때 다 등용되면 계영(戒盈)의 도리가 아니다.”라고 하여 경전 읽기에 전념해 산림학파(山林學派)의 연원을 형성하였다. 특히 예학(禮學)에 밝아 전라도 남원부의 풍속 정화를 위해 보인당(輔仁堂)이라는 서당에서 선유예법(先儒禮法)에 따라 사례(四禮)를 강론하였고, 남원부의 사풍(士風)과 민속의 독실함에 영향을 끼쳤다.

[학문과 사상]

명재(明齋) 윤증(尹拯)과 현석(玄石) 박세채(朴世采)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 주자(朱子)와 공자(孔子), 근세선유(近世先儒)의 설을 절충하여 예학(禮學)을 정리하여 교육하였다.

[저술 및 작품]

『동강유고(東岡遺稿)』 8권 2책과 『동강가의(東岡家儀)』 2권 1책이 전한다.

[묘소]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월암리에 묘가 있다.

[상훈과 추모]

송창이 예조참의로 있을 때 업적을 조정에 알려 영조가 동강정사(東岡精舍) 문전의 황자답(荒字畓) 14경(頃)과 현자산응봉이변(玄子山應峰二邊)을 내렸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0.20 2011년 한자 재검토 작업 1) 종부사주부(宗簿寺主簿) ->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 2) 윤명재(尹明齋)와 박현석(朴玄石)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 ->명재(明齋) 윤증(尹拯)과 현석(玄石) 박세채(朴世采)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
이용자 의견
박** 최시옹(崔是翁)활동사항 : '선유예법(先儒禮法)에 따라 사례(四禮)를 강론한 보인당(輔仁堂)'은 '생몰년대나 명재 문하에서 공부' 등 이야기로 미루어 보아 논산(니산)보인당(輔仁堂,1566,이이 기)과 관계가 있는지, 아니면 유적과 기록이 남원에 남아있는지 매우 궁금하군요. 멜sinsaman8@naver.com 2012.04.26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