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700312
한자 三陟敎授堂
영어공식명칭 Samcheok Gyosudang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 151
시대 고려
집필자 홍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388년(우왕 14)연표보기 - 삼척교수당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967년 - 삼척교수당 화재로 소실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6년 - 삼척교수당 중건
문화재 지정 일시 1979년 5월 30일연표보기 - 삼척교수당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삼척교수당 강원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삼척교수당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 151 지도보기
성격 건축물
양식 누정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남양홍씨 교수공파종중
관리자 남양홍씨 교수공파종중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정의]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에 있는 고려 시대 누정.

[개설]

1388년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춘주(春州) 교수(敎授) 홍준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로 내려와 정착하였다. 그리하여 홍준은 삼척의 남양홍씨 입향시조이자 교수공파(敎授公派)의 시조가 되어 이곳에서 살면서 후학을 가르쳤다. 홍준의 후손들은 이곳에서 동족마을을 이루었으며, 주변으로도 퍼져 나갔다.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조선의 취락』은 조선의 성씨와 전국의 동족마을을 조사하여 소개하면서 강원도의 남양홍씨 동족마을로 삼척 근덕 하맹방리홍씨도 소개하였다. 교수당홍준이 춘주 유학 교수를 지냈기 때문에 그를 기리면서 건물의 이름을 붙인 것이다.

홍준이 처음 입향한 삼척시 근덕면 맹방리(孟芳里)는 ‘고성 삼일포 매향비’에 따르면 고려 후기인 1309년 8월 강릉도존무사 김천호(金天皓)가 중심이 되고 관할 지역 지방관들도 참여하여 미륵의 출현을 바라면서 9개 지역에 매향하던 곳 가운데 하나로, 매향방(埋香芳)으로 불리다가 맹방(孟芳)이 되었다. 맹방리는 삼척시의 남쪽 6㎞ 지점에 해안을 끼고 있다. 한재(漢峙, 大峙)에서 내려다보는 맹방 일대의 해안선은 가히 ‘남한의 명사십리’라고 불릴 정도로 장관이다. 육백산(六百山)에서 발원한 마읍천(麻邑川)초당동굴에서 발원한 소한천(昭漢川) 등 여러 하천이 맹방리 일대를 지나 덕산리 바다로 들어가면서 이 일대에 농경지를 형성, 삼척시 지역에서는 드물게 평야가 발달해 있다. 이에 따라서 맹방리 일대는 세거지(世居地)로 적합한 지역이다. 홍준의 입향 이후 남양홍씨 교수공파 후손들이 이 일대에서 누대에 걸쳐 세거하면서 ‘맹방홍씨’라고 부를 정도로 세거지로서의 위상을 확보하였다. 대표 인물인 홍견(洪堅)은 임진왜란 때 임치첨사(臨淄僉使)로서 이순신(李舜臣)[1545~1598] 장군과 함께 싸웠으며, 홍인조(洪寅祚)는 1794년(정조 18)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 밖에 사마시 합격자와 다수의 무과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이처럼 남양홍씨 교수공파는 조선 후기에 건립되는 삼척 지역 서원인 용산서원(龍山書院)과 산양서원(山陽書院)의 운영에 주축을 담당하며 삼척 지역 향안(鄕案)에도 대거 입록되어 있다. 이러한 서원과 향안의 구성원으로 남양홍씨, 강릉최씨, 강릉김씨가 거의 대다수인 것으로 보아 이들 성씨가 삼척 지역의 3대 성씨라 할 수 있다. 삼척 지역의 대표 재지사족 가문의 위상을 구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위치]

삼척교수당(三陟敎授堂)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 151에 위치한다.

[변천]

1388년(우왕 14년) 홍준(洪濬)의 입향 이래 삼척교수당 자리에는 원래 남양홍씨 교수공파의 종갓집과 해운정이 있었지만 1967년경 화재로 소실되었다. 현재 건물은 1976년경에 지어진 것이다. 그 후 삼척교수당은 1979년 5월 30일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현재의 삼척교수당은 사각형으로 약간 다듬은 활석을 2열로 쌓은 낮은 기단 위에 건물을 세웠다. 건물 마루를 낮게 깔아 기단으로부터의 높이 차이는 크게 나지 않는다. 건물은 기둥 외에는 벽체가 없고, 마루의 사방으로 안창을 뚫은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렸다. 외형으로는 누정 건축물 형태이다.

건물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단층 겹처마 팔작기와지붕으로 민흘림기둥 위에 주두를 올린 후 공포 구조를 간략화하였다.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화반을 설치하였다. 건물 내부의 마루는 전체를 우물마루로 가설하였고,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출입시설은 전면에는 없고 좌·우 측면에 각각 만들었다.

[현황]

삼척교수당맹방리의 넓은 들판에 자리하고 있으면서도 소나무와 대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앞으로는 소한천(昭漢川)이 흐르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배산임수 입지 전형과 유사하다.

삼척교수당의 전면에는 을미국추죽사박충식(乙未菊秋竹史朴忠植)이 쓴 ‘교수당’ 제액이 게판되어 있고, 교수당 내에는 남양홍씨 교수공파 종회에서 1980년에 쓴 ‘교수당실기(敎授堂實記)’와 을미국추죽사박충식이 쓴 전서체 ‘교수당’ 제액이 게판되어 있다. 홍준의 스승인 목은(牧隱)이색(李穡)[1328~1396]의 시판(詩板)도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고려 말 삼척에 입향한 남양홍씨 교수공파의 시조와 관련된 누정의 상징이자 종가 건물로서의 위상을 갖추고 있으며, 동족마을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잘 보여 주는 건축물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2.09.02 주소 변경 [기본정보] 지역 변경, [상세정보] 현 소재지 변경, [위치] 주소 변경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