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1018 |
---|---|
한자 | 特殊敎育 |
영어공식명칭 | Special Education |
이칭/별칭 | 특수학교,특수반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진광 |
[정의]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특수 교육 요구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개설]
특수교육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 과정·방법·매체 등을 통하여 교과 교육, 치료 교육, 직업 교육 등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특수교육 대상자는 시각 장애, 청각 장애, 지적 장애, 지체 부자유, 정서 장애(자폐성 장애 포함), 언어 장애, 학습 장애, 기타 교육부령이 정하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특수교육 운영의 목적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육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수교육 제도와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을 추진하여 국정 과제[청각장애인 지원 확대, 장애 학생 교육 여건 대폭 확충 - 특수학교 신설, 특수학급 신설, 특수학급 증설, 특수 교사 법정 정원 확보, 학습 도우미 증원 등]와 국정 기조를 운영 계획에 담아 꿈과 끼를 키우는 특수교육을 제공하고, 장애 학생의 행복 교육 실현을 추구하는 것이다.
[변천]
1970년대 들어와 국가의 균형 발전을 위한 교육 시책으로 특수교육을 강화하였다. 1977년 12월 31일 「특수 교육 진흥법」이 제정됨에 따라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심신 장애인에 대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1979년부터 국·공립 특수학교 학생들에게 무상 교육이 실시되었다. 또 문교부[현 교육부]는 공립 특수학교에 교과서 구입비와 특수 학급 운영비 등을 지원해 주었고, 사립 특수 학교에도 인건비와 운영비를 보조해 주었다. 강원도에는 춘천의 동원학교와 강릉의 오산학교 등이 있지만 삼척시에는 학교가 설립되지 않았다. 근래에 와서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특수학급을 설치하고 특수 학생을 받아서 교육하고 있다. 특수 교사가 체험 활동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각 분야 강사들의 지원을 받아 지도하고 있다. 대부분 학년별로 특수학급이 설치되었지만 한 명의 특수 교사가 한 학급에서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는 편이다. 초등과 중학교에서는 간단한 연산과 한글, 영어 회화 배우기, 미술, 음악, 놀이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사회에 나가 간단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체험을 각종 강사를 통해서 배우는 과정을 계획 및 실행하고 있다.
[활동]
특수교육 운영은 유치원 과정 특수교육 대상자 의무교육 지원 내실화[의무교육 이행 철저, 일반 유치원 배치 희망 특수교육 대상 유아 지속 지원, 특수교육 대상 유아 교육 과정 운영 내실화, 특수교육 대상 유아 초등학교 입학 적응 지원], 특수교육 대상자 영아 지원[특수교육 대상 영아 무상 교육 실시에 대한 교육 및 연수 실시, 교육 대상 영아 교육 실시를 위한 다양한 지원 시스템 구축, 특수교육 대상 영아 교육 수시 상담 및 무상 교육 지원 체제 마련], 특수학교[급] 신설 및 확대[특수학교[급] 학생 법정 정원 충족 학급 확대, 특수학교 신설 시 다양화·특성화·전문화 적극 고려, 합리 기초 자료에 근거한 특수교육 대상자 중장기 수용 계획 마련], 특수학급 대상자 건강 장애 학생 교육 지원 강화[만성질환 학생 가운데 해당자를 건강 장애로 선정하여 무상 교육 혜택 제공, 건강 장애 학생 소속 학교 담임교사 연수, 병원 학교 강사 및 보호자 교육 강화, 건강 장애 학생 교육 과정 운영 내실화 및 학교 복귀 프로그램 운영 강화] 등으로 특수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삼척 지역 특수교육]
삼척교육지원청에서는 ‘모두 카페’라는 특성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모두 카페’ 활성화 목적은 특수교육 대상자 실습 기회 확대로 취업 역량 강화, 현장 직업 교육을 통한 장애 학생의 직무 능력 개발, 유관 기관 연계 장애 학생 일자리 창출 방안 모색 등이다. 추진 내용은 직무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 대상 학생 맞춤식 바리스타 교육 실시, 학사 일정에 맞게 실습 시간 및 실습 기간 조정, 유관 기관과 연계해 장애 학생 일자리 창출 방안 모색, 행복한 일자리 사업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