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1174 |
---|---|
한자 | 農業方言 |
영어공식명칭 | The Dialect of Agricultur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집필자 | 최승기 |
[정의]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사용되는 농업 관련 어휘나 언어 현상.
[개설]
강원도 삼척 지역은 평야 지대는 아니지만 논농사와 밭농사를 경작해 왔으며, 이에 따라 농기구도 활용하여 왔다. 삼척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량 작물에는 미곡·맥류·잡곡류·두류·서류 등이 있으며, 소채류에는 무·배추·고추·마늘·양배추·당근·시금치·고랭지채소 등이 있다. 과실류에는 사과·배·복숭아·포도·감 등이 있으며, 특용작물에는 참깨·들깨·대마 등이 있다. 삼척 지역의 농업 방언 어휘들은 삼척 방언의 어휘 특징인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현상, ‘ㅣ’ 첨가 현상, ‘ㅎ’ 구개음화, 움라우트 현상 등이 반영되어 여러 가지 특징을 보인다.
[어휘]
갈카리: 가을갈이
갈쿠리/가꾸리/깍쟁이/깍지: 갈퀴
걸금을 밟히다: 외양간에 짚을 깔고 가축의 분뇨가 섞이게 한 후 가축으로 하여금 발로 밟게 하여 거름(두엄)을 만들다
검부지기/검부리: 검불(검부저기)
게운기/딸딸이: 경운기
곡석/나달(낟알): 곡식
궁이/쇠궁이: 여물통
귀애: 도수로(導水路) 용으로 쓰기 위하여 나무토막에 홈을 판 것
그릇대/거릇대: 거름을 펴는 농기구[거름-대]
까우치: 벼의 수염
꺼멍/끄시멍: 검정
꼬질/쇠꼬질: 가축먹이용 마른 농산 부산물
꼬치가리/꼬지가리/꼬질간: 가축먹이용 마른 농산 부산물 보관 장소
꼭괭이: 곡괭이
꼴동부리/솨지/솨아지: 송아지
논고기: 논이나 논도랑에 떼를 지어 다니는 작은 물고기[송사리]
논곡: 논에서 나는 곡식, 즉 쌀
농새: 농사
덜구(질): 달구(질)
도꾸: 도끼
도루깨: 도리깨
들머리: 가마니나 짐짝을 어깨에 둘러메는 일
마다아/거름: 마당
마훗: 논밭에 거름으로 내는 인분
망티기: 망태
못종: 모를 심을 때 뒤에서 모 시중을 하여 주는 사람
물개단: 물기가 있는 볏단
발방아: 디딜방아
방간: 방앗간
방공이: 방앗공이
베: 벼(水畓)
베글기/베끌기이: 벼 그루
베름간/벼름간: 대장간
베보자: 삼베로 만든 보자기
베잘기/베잘그: 삼베로 만든 자루
보구레/훌치: 쟁기
보리마데이/보리마디이: 보리타작
비알 밭/빈달 밭: 비탈 밭
뿌꾸지: 뻐꾹새
소깽이/속갱이/솔까지/소까지: 관솔
쇠꼬질/꼬질: 소에게 주는 마른 농산 부산물
시절이 안 되다: 농사가 잘 안 되다
썩으새/써그새: 볏짚 썩은 것
아이 김매기: 초벌 김매기
옥노/홀롱: 덫
이시락/이스락: 이삭
이짚 졸가리: 볏짚 이삭 부분의 줄기
절는다: 농기구[소쿠리 등]을 만든다
주저리: 곡식의 낟가리나 짚을 쌓은 곳에 비가 맞지 않도록 위에 씌우는 것
진풀: 봄에 새로 돋아난 갈잎 등을 베어 논에 넣는 풀
질쌈: 길쌈
짐매기: 김매기
짜들배기: 비탈진 작은 뙈기밭
쭉지기/쭉지이/쭉젱이/쭉쟁이/쭉지개: 쭉정이
포디기: 곡식을 튀긴 것[강냉이 포디기가 대표 활용 어휘]
호메이/호미이/호무: 호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