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오강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703
한자 吳剛杓
영어공식명칭 O Gangpyo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을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43년(헌종 9)연표보기 - 오강표 출생
몰년 시기/일시 1910년연표보기 - 오강표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2년연표보기 -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됨
출생지 오강표 출생지 - 충청남도 연기군
묘소 열사 무이재 오강표 순절비 -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매곡리 789
묘소 오강표의 묘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해밀리 지도보기
성격 순절지사
성별

[정의]

근대 세종 지역 출신의 애국 순절지사.

[가계]

오강표(吳剛杓)[1843~1910]는 1843년(헌종 9) 옛 충청남도 공주군 사곡면 월가리 도덕골에서 부친 오치국(吳治國)과 모친 파평윤씨(坡平尹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활동 사항]

오강표는 일제의 강요로 1905년 11월 ‘을사늑약’이 체결되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분노해서 “임금의 신자(臣子)가 되어 이러한 때에 구태여 목숨을 아끼겠느냐”고 하면서 을사오적을 토벌해야 한다는 상소문 「청참조인제적소(請斬調印諸賊疏)」를 지었다.

상소문을 교임(敎任) 한정명(韓鼎命)으로 하여금 관찰사 이도재(李道宰)에게 전하여 조정에 올리도록 하였다. 그러나 관찰사 이도재는 거절하고 올리지 않았다. 이에 오강표는 분을 이기지 못하고 청나라 상인에게 아편을 구입하였다.

오강표의 행동에 의아심을 품은 청나라 상인은 성분이 약한 아편을 주었다. 오강표는 공주향교(公州鄕校) 명륜당(明倫堂)으로 들어가 대성통곡하고는 마침내 자결하고자 아편을 먹고 거의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나 다행히 한정명이 오강표를 발견하였기 때문에 목숨을 건진 뒤 집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아편 흡입으로 말미암아 오강표의 몸은 온전치 못한 상태가 되었다.

그 후 오강표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성토하는 장문(長文)의 글을 쓰고자 하였으나 주변 사람들이 만류하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때부터 오강표는 실의에 빠져서 세상사에 뜻을 두지 않고 항상 독약을 몸에 지니고 다녔다고 한다.

1907년 모친상을 당하니 나이 60이 넘었다. 을사늑약 이후 한민족의 국권회복운동을 무력으로 철저하게 탄압하던 일제는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군대를 해산시킨 데 이어 사법권마저 박탈하였다. 나아가 1907년 일본 내각은 ‘한국병합에 관한 건’을 결정하고 군대와 경찰을 전국 각지에 배치하여 한민족의 저항을 사전에 차단한 다음 1910년 8월 29일 이른바 ‘한일합방조약’을 체결함으로써 한국의 국토와 주권을 완전히 강탈하였다.

이때 오강표는 명강산(明岡山)에서 은거(隱居)[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삶] 생활을 하던 중 강제 병합의 소식을 듣자 크게 놀라 절명사(絶命詞)를 지어 금동서사(錦洞書社)에 있는 동지 최종화를 찾아갔다.

두 사람은 망국의 울분을 함께 통곡하고는 오천역에서 죽겠노라고 말하자 최종화가 오천역은 선비가 인(仁)을 이룰 만한 곳이 아니라고 말렸다. 이에 오강표는 “그렇다면 다시 교궁(校宮)으로 가야 한다는 말인가” 하면서 연기의 선산에서 곡을 하며 고별하고 다시 청주로 돌아가 아들 오병찬(吳炳瓚)과도 작별하였다. 그리고 성전(星田)으로 돌아와서는 임헌회 선생의 묘(廟)에 글로 고하고 동생 오순표(吳純杓)와도 작별하였다.

1910년 11월 13일 오강표는 다시 최종화를 찾아갔다. 이날은 비바람이 혹독하게 몰아쳐서 몹시 추웠는데도 오강표는 매우 얇은 옷을 입고 있었다. 최종화가 “왜 솜옷을 입지 않았느냐?”고 묻자 오강표는 “망국의 노예가 되어 따뜻하고 배부른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고 말하였다.

이튿날 오강표는 유서를 지어서 소매 속에 넣고 갔다. 최종화가 “절개를 지켜 죽는 것은 진실로 아름다운 일이지만 후회가 없겠는가?” 하고 물으니 오강표는 “인(仁)을 구하고 인을 얻는 것에 또한 어찌 후회가 있겠는가?”라고 답하였다. 이에 최종화는 오강표의 자결을 더 이상 막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다음과 같은 내용의 시(詩)를 지어 주었다. 시를 읽은 오강표는 눈물을 흘리면서 “내가 만약 죽지 않는다면 어찌 선인(先人)들을 뵐 수 있겠는가?”고 말하였다. 최종화는 오강표를 마을 앞 산모퉁이까지 전송하였고, 두 사람은 서로 눈물을 흘리며 헤어졌다.

오강표는 최종화와 헤어진 뒤 곧바로 공주향교의 명륜당에 들어가 벽에 글을 붙이고 한바탕 대성통곡을 하였다. 향교에서 잡일을 맡고 있는 수복(守僕)[조선시대에 묘(墓), 사(社), 능(陵), 원(園), 서원(書院) 등에서 청소 일을 맡아 보던 구실아치]이 이러한 사실을 향교 직원(直員)[일제강점기에 향교나 경학원의 직무 또는 향교나 경학원의 직무를 맡아 하던 사람] 이정규(李鼎珪)에게 알렸다. 이정규는 수복에게 오강표를 불러 오라고 하자 오강표는 수복을 크게 꾸짖으면서 “나는 부른다고 해서 가는 사람이 아니다”고 말하였다. 이정규가 나와서 오강표를 보고는 위로하고 타일렀으나 오강표는 듣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이정규는 오강표의 글을 관청으로 보냈고, 관청에서는 다시 오강표의 글을 경무관(警務官)에게 보냈다.

1910년 11월 17일[음력 10월 16일] 밤에 마침내 오강표는 강학루(講學樓) 들보에 목을 매어 자결하였다. 소식을 들은 관청에서 크게 놀라 마을 사람들로 하여금 화톳불을 밝히고 밤을 지새우도록 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오강표의 옷차림을 풀어헤치며 자세히 조사하여 유서를 찾아갔다.

마침 이날 군수 모임이 있었는데 군수들은 오강표의 자결 소식을 듣고 모두 놀라면서 탄식하였다. 어떤 사람은 눈물을 흘리면서 “우리들은 오강표에게 죄인이다”고 말하였으며, 아전들도 크게 탄식하면서 “오강표는 53군(郡) 중에서 제일인이다”고 말하였다. 또한 “오강표는 죽을 만한 인물이다. 그의 죽음에서 상도(常道)[항상 지켜야 할 도리]를 굳게 지키는 천성을 볼 수 있도다”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오강표가 남긴 절명사에는 “비록 살아서 조선 땅을 되찾는 것은 어렵다 하나 일본 사람이 되는 것을 어찌 볼 수 있는 일이겠느냐!” 하고 자신의 애국 충정을 유감없이 묘사하였다.

또한 오강표의 유서에는 “오호라 내 금년 나이 칠순에 이르러 나라가 무너지고 임금이 망하는 때를 당하여 아무런 묘책도 없이 난국을 타개치 못하고 나라와 백성들이 함정에 빠지는 것을 구하지 못했으니 죽음만 같지 못하도다. …… 어찌 분노와 원한을 참고 왜놈에게 허리를 굽힐 수가 있으랴. 원컨대, 우리 2천만 동포는 총궐기하여 주권을 되찾아야 하느니라. 나는 나라가 패하고 임금이 망하였으니 어찌 내 자신도 살아갈 수 있겠는가. 이른바 나는 어디까지나 이씨조선의 백성이요, 죽어도 이씨조선의 귀신이로다. 일찍이 공자가 말하기를 뭇 사람은 성인(成人)하라 하였고 맹자는 의(義)를 취하라 하였으니 흰 머리에 붉은 충성은 오직 죽음이 있을 뿐이다”는 우국충정이 담겨 있다.

오강표의 자결 소식을 들은 최종화는 “초야(草野)의 한 포의(布衣)로 붉은 피 만강(滿腔)하고 애국 충정하는 데 목숨을 초개처럼 버리기에 이르렀으니 매운 그 마음 선열에 조금도 부끄러움이 없도다”고 높이 평가하였다.

[저술 및 작품]

『무이재집』에 실려 있는 오강표의 시는 정열적이면서도 맑고 조용한 것이 특색이다. 오강표가 지은 시 가운데 「향사(鄕思)」를 보면 다음과 같다.

소슬한 가을바람에 가을 색(秋色)이 산속에 스며드는데

갑자기 일어나는 고향의 그리움에 천 리 강남 길 기러기 어서 가려므나

혹시나 다시 찾아드는 너한테서 고향 소식이나 전해주려니

하늘 저편 반쯤이나 트인 곳에 흰구름이 흐르는데

파초 잎 속에서 가을 색 머금는 꽃 물고기 접시 속에 새 맛이 그득 한데

나루터 사람들은 금강에서 왔나보다

구수한 차 끓이는 연기가 실오리처럼 가늘게 흔들리고

정적 속에는 가득한 정이 흘러넘치네

하늘 끝 멀리 돌아가는 구름은 저절로 막히는데

푸른 산 한쪽이 석양에 아름답게 빛나네.

[묘소]

현재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해밀리에서 국도를 따라 2.5㎞ 정도 북쪽으로 자리한 갈운리 부락 입구에는 ‘오강표 순절비’가 있고, 묘소는 부락의 북쪽 야산 중턱에 있다.

오강표의 구국 충성을 기록한 순절비는 1961년 3월 1일 제헌국회의원 겸 헌법의원을 지낸 최운교가 글을 짓고 조병호가 글씨를 썼다.

또한 조치원읍 침산동 충령탑 앞에 있는 ‘연기출신 독립 의열명사 숭모비’에도 오강표의 공적이 새겨져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오강표의 행적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追敍)[죽은 뒤에 관등을 올리거나 훈장 따위를 줌]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