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앉은굿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1166
영어공식명칭 Anjeungut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속 의례

[정의]

세종 지역에서 무당이나 법사가 앉은 채로 꽹과리와 북을 두드리고 무경을 구송하며 진행하는 무속 의례.

[개설]

앉은굿이라는 용어는 무당이나 법사가 굿을 진행할 때 취하는 자세에 근거하여 나온 말이다.

본래 앉은굿은 여성 무당보다 경객(經客)이나 법사(法師)가 중심이 되어 행하였다. 경객이나 법사는 북이나 꽹과리를 앞에 두고 두드리면서 경문을 구송하는 방식으로 굿을 진행하였다.

앉아서 하는 굿의 진행 방식이 충청도 굿판의 한 유형이 되면서 오늘날에는 남녀 가리지 않고 독경 방식의 굿을 한다.

[연원 및 변천]

앉은굿은 말 그대로 앉은 자세로 굿을 진행하는 것에서 나온 용어이다. 앉은굿 방식은 경객이나 무당이 춤사위나 주술적인 행위보다 독경을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독경 방식의 굿이 언제 유래하였는가는 불분명하다. 불경의 구송 방식을 차용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단정하기 어렵다.

조선 후기에 맹인 경객의 독경이 유행하였고, 특히 충청도 지역에서 경객 활동이 왕성하여 충청도 무속의 한 특징이 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오늘날 세종 지역의 무당이나 법사는 대부분 앉은굿 방식으로 굿을 진행한다.

[절차]

앉은굿의 절차는 굿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해당 굿이 안택굿, 병굿, 재수굿 등에 따라 진행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한 예로 앉은굿의 경우 부정풀이를 선행하고 조왕전, 터주전, 성주전으로 자리를 옮겨 가며 굿을 진행한다.

집안에 우환이 있는 경우 안방에서 성주굿 외에 우환의 원인을 찾아 이를 해소하는 과정이 곁들여지기도 한다.

[현황]

세종 지역 무속의 중심은 조치원이다. 조치원은 너른 들을 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이 발달되어 세종특별자치시 조성 전에 중심지였다. 따라서 법사나 무당 또한 조치원에 집중되어 있었다.

오늘날에도 조치원이 무속의 중심이라는 점에는 큰 변화가 없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