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0634 |
---|---|
한자 | 大山里碑石群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대산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이해준 |
현 소재지 | 대산리 비석군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대산리 |
---|---|
성격 | 선정비 |
양식 | 호패형|이수형|옥개형 |
관련 인물 | 김정희|이득록|우문영|조영린|김용람|이근도|윤세웅|김봉환 |
크기(높이,너비,두께) | 높이 110㎝, 너비 40㎝, 두께 18㎝[어사김공정희영세불망비]|높이 105㎝, 너비 45㎝, 두께 19㎝[첨사이후득록애민선정비]|높이 126㎝, 너비 49㎝, 두께 20㎝[첨절제사우후문영애민선정비]|높이 102㎝, 너비 40㎝, 두께 16㎝[행첨절제사조후영린선정비]|높이 101㎝, 너비 40㎝, 두께 17㎝[행첨절제사김후용람애민선정비]|전체 높이 180㎝, 높이 129㎝, 너비 45㎝, 두께 21㎝[면장이공근도송덕비]|높이 106㎝, 너비 31㎝, 두께 11㎝[윤공세웅송덕불망비]|전체 높이 192㎝, 높이 135㎝, 너비 45㎝, 두께 18㎝[면장김공봉환송덕비] |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대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부터 근대에 세워진 8기의 비석.
[개설]
대산리 비석군은 조선 후기 대산 지역에서 어사(御使)와 첨사(僉使) 등을 역임한 인물들과 근대의 면장 등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졌다. 대산리 비석군은 김봉환[1~3대 읍장으로 1944년~1960년까지 근무]이 대산읍장으로 재임할 때 서산시 대산읍 대산리 곳곳에 흩어져 있던 비석을 한 곳에 모아 둔 것이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대산읍사무소 후문의 현 경찰서 자리에 2기가 있었고, 대산3리 틀목마을 현 한미아파트 자리에 1기가 있었고, 어사비는 대산6리 현 초원다방 옆 밭에 있었다고 한다.
[위치]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대산리에 있는 서산경찰서 대산지구대에서 북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국도 29호선 왼쪽 도로변에 대산리 비석군이 위치하고 있다.
[형태]
1. 어사김공정희영세불망비(御史金公正喜永世不忘碑)는 호패형으로, 1826년(순조 26)에 건립되었다. 비신은 높이 110㎝, 너비 40㎝, 두께 18㎝이다. 비의 전면 좌우측에는 충청우도 암행어사로 임명된 김정희가 대산 지방을 시찰할 때 베푼 선정이 4연시로 기록되어 있다.
2. 첨사이후득록애민선정비(僉使李侯得祿愛民善政碑)는 이수형으로, 1843년(헌종 9)에 건립되었다. 비신은 높이 105㎝, 너비 45㎝, 두께 19㎝이다.
3. 첨절제사우후문영애민선정비(僉節制使禹侯文英愛民善政碑)는 원래 이수형이지만 현재 이수는 없어졌으며, 1847년(헌종 13)에 건립되었다. 비신은 높이 126㎝, 너비 49㎝, 두께 20㎝이다. 비 전면 좌우측에는 공정한 판결, 세금 감면, 각종 폐단의 시정 등 재임 당시 우문영이 베푼 선정이 4연시로 기록되어 있다.
4. 행첨절제사조후영린선정비(行僉節制使趙侯榮麟善政碑)는 이수형으로, 1860년(철종 11)에 건립되었다. 비신은 높이 102㎝, 너비 40㎝, 두께 16㎝이다.
5. 행첨절제사김후용람애민선정비(行僉節制使金侯用覽愛民善政碑)는 이수형으로, 1883년(고종 20)에 건립되었다. 비신은 높이 101㎝, 너비 40㎝, 두께 17㎝이다.
6. 면장이공근도송덕비(面長李公根道頌德碑)는 옥개형으로, 1928년에 건립되었다. 전체 높이는 180㎝이며, 비신은 높이 129㎝, 너비 45㎝, 두께 21㎝이다. 비의 전면에는 이근도의 공적이 4연시로 기록되어 있다.
7. 윤공세웅송덕불망비(尹公世雄頌德不忘碑)는 호패형으로, 1940년에 건립되었다. 비신은 높이 106㎝, 너비 31㎝, 두께 11㎝이다. 비의 전면에 윤세웅의 공적이 4연시로 기록되어 있다.
8. 면장김공봉환송덕비(面長金公鳳煥頌德碑)는 옥개형으로, 1965년에 건립되었다. 전체 높이는 192㎝이며, 비신은 높이 135㎝, 너비 45㎝, 두께 18㎝이다. 비의 전면에는 김봉환의 공적이 4연시로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대산리 비석군은 19~20세기 서산시 대산읍 대산리의 역사를 복원하고, 관련 인물의 행적을 검토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