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535
한자 近代建物
영어공식명칭 Modern Building
영어의미역 Modern Building
영어공식명칭 Modern Building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우승완

[정의]

1876년부터 1970년 이전까지 전라남도 순천 지역에 세워진 건물.

[연원]

순천은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군사·행정·문화의 중심지이자 교통·지리적 요충지인 조선인의 전통적 주거지에 일제강점기 일본인 거주지가 침투하여 형성되는 근대 도시 역사를 지닌 도시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 도시들의 위상이 설정된 개항기 이후 당시 도시들의 근대 도시화 특성으로 대변되는 성벽 철거, 철도 개통, 기독교 문화의 이입 등이 순천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또한, 순천은 해방 직후 이념 갈등이 반영된 도시이며, 1960년대 이후 도시화·산업화 과정을 맞이하지 않아 근대 도시화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곳이다.

순천의 근대 건축물은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문화적 자취이자 문화체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잣대라 할 수 있다. 근대 도시 변화를 간직한 건축은 시기와 공간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데, 시기적으로는 1920년대 중반 전·후부터, 공간적으로는 순천읍성의 공간 변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1920년대 중반까지는 순천읍성 밖의 미국 남장로회의 순천선교기지[또는 순천선교부] 구축 과정에서 생성된 건축물이 대부분이다. 192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성곽의 철거로 전통 읍성 공간이 훼철되면서 장방형 필지와 조선총독부가 주도하는 근대 건축이 본격적으로 나타난다.

[변천과 특징]

1. 순천의 선교기지화와 근대 건축의 도입

순천선교기지의 건축은 1913년 처음 시작되는데, 광주선교기지 소속으로 1911년부터 한국에서 활동한 스와인하트(Martin Luther Swinehart)[한국명 서로득]가 주도하였다. 스와인하트는 순천선교기지로 주택, 병원, 학교, 휴양시설 등 다양한 시설물을 건축했다. 그리고 스와인하트가 세운 건물은 순천 인근의 여수[여수애양병원], 구례[지리산 노고단 휴양시설]뿐만 아니라 서울[이화여자대학교 교사]까지 여러 도시에 남아 있다. 1920년 이전에 세워진 현존하는 순천선교기지 건축물 가운데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턴 가옥, 순천코잇선교사가옥, 알렉산더병원 격리병동 등은 중국인 기술자가 주도했지만, 순천매산중학교 매산관, 호텔의 일부 구조만 남은 지리산 노고단 휴양시설, 여수애양병원의 옛 병원시설 등은 서양 건축술을 전수받은 한국인 기술자의 참여로 세워졌다.

2. 해방 이전 일본식 주거 건축물의 건립

순천에 일본식 건축이 시작된 시기는 확인되지 않는다. 하지만 일본인의 첫 순천 거류가 1905년이고, 1907년에는 다수 일본인이 순천에 거류한 것으로 보아 이 무렵 이후 시작되었을 것이다. 문헌상 최초로 일본이 지은 공공건축물은 1919년 순천시 행동광주지방법원 순천지청을 이전하면서 지은 신축건물이다. 그다음은 1921년에 건축하고 1922년에 개원한 순천자혜의원[일명 순천도립병원, 순천시의료원 전신]이다. 이후 성곽을 완전히 철거하여 환형 도로망을 구축하고, 객사를 훼철하여 장방형 필지로[중앙사거리에서 의료원로터리까지 중앙로 양쪽]를 개발하면서 도심 내 일본식 건물이 군집을 이루면서, 순천 도시경관의 변화가 나타났다.

집단주거건축의 경우에는 일제강점 초기 일본군 수비대[헌병대]가 순천읍성의 관아 자리에 숙소를 구축한 것이 가장 빠르다. 병영시설이 아닌 집단주거건축은 순천자혜의원의 집단관사가 처음이다. 이후 1936년에 순천철도사무소 유치되면서 기존 시가지와 별개로 부도심이 구축되었다. 왜냐하면, 철도 종사자를 위한 집단철도관사뿐 아니라 운동장·구락부·목욕장·병원 등 후생복지시설과 함께 구축되었기 때문이다. 1940년에는 주택난에 따른 임대료와 보증금의 폭리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 3개년 계획으로 주택 30동과 합숙소 1개 동을 계획하기도 했다.

3. 해방 이후 순천의 근대 건축물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도립순천의원[현 순천의료원]과 순천교[일명 장대다리]는 1950년대 후반에서야 복구사업이 추진되었다. 일제강점기에 궁민구제사업(窮民救濟事業)으로 구축된 동천의 제방이 1962년 8월 유실되어 순천시가지 2/3가 침수되고 당시 시민의 1/3이 재난을 겪었다. 이때 ‘순천수해복구주택’이 A지구, C지구로 나눠 세워지면서 당시로써는 찾아보기 어려운 규모인 709호가 집단으로 공급되었다. 이때 이른바 순천 원도심이라 일컫는 도시공간의 틀이 형성된다. 순천수해복구주택은 1세대가 8~10평[약 26.5㎡~33㎡]인 연립주택으로 계획되었고 구조는 블록에 목조 트러스로 건축된다. 지금의 주거문화 관점에서 본다면 열악하기 그지 없지만 우리의 기술로 건축된 최초의 공동주택이라는 점은 순천의 도시 주거사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