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01302 |
---|---|
한자 | 邑南里-家屋 |
영어의미역 | House of Yu Hanu in Eumnam-ri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남리 263[말루길 188-12]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김찬영 |
성격 | 민가 |
---|---|
양식 | 목조가구식 |
건립시기/일시 | 조선시대 |
정면칸수 | 4칸 |
측면칸수 | 4칸 |
소재지 주소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남리 263[말루길 188-12] |
소유자 | 유한우 |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남리에 있는 조선시대 ㅁ자형 상류 주택.
[위치]
울진읍 읍내리 남동쪽의 포장길로 남대천변 동쪽 산을 넘어가면, 남북으로 길쭉하게 뻗어내린 야산 사이로 뒷산골이 있다. 뒷산골은 곡간 경작지로 뒷산골 남단 산록에 읍남리 유한우 가옥이 있다.
[변천]
ㅁ자형 정침 전방에 아래채를 비롯한 건물 2동이 더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형태]
유한우는 유상욱의 6촌으로 읍남리 유상욱 가옥의 평면 구성이나 대청 상부 구조가 거의 동일하다. 배치는 남대천을 따라 뻗어내린 동쪽의 길쭉한 야산을 등진 경사지에 터를 잡았고, 남대천변의 넓은 마루앞들을 향해 남향으로 정침을 배치했다. 건물 구성은 산록 경사지를 2단으로 터닦고 윗단에 정침을, 오른쪽에 두지와 변소를 배열했다. 정침 앞단에는 바깥 마당을 두었다.
대지 외곽에는 흙 담장으로 일곽을 구획하였다. 정침은 정면 4칸, 측면 4칸 규모에 평면 형태 ㅁ자형의 기와집이다. 앞면에 낸 두짝 널문의 대문을 열고 들어서면 작은 중정이 있고, 중정 뒤로 안채의 넓은 2통칸 대청이 있다. 대청 오른쪽으로는 유상욱 씨 집처럼 반 칸 규모의 두지가 있고, 오른쪽으로는 반 칸 규모의 도장방과 2통칸의 넓은 안방이 자리한다.
안방 남쪽으로는 정지 1칸에 마구 1칸이 연접 배열된 우익사가 있다. 대청 왼쪽으로는 칸 반 규모의 샛방이 있고, 그 앞으로 샛방정지와 사랑방, 그리고 사랑마루 순으로 배열된 좌익사가 있다. 사랑마루와 대문 사이에는 온돌방 1칸이 있는데, 예전에는 도장이었다.
평면 구성에서 주목되는 점은 유상욱의 집과 마찬가지로 ㄱ자형 안채와 ㄴ자형 사랑채가 결합된 ㅁ자형이고, 대청을 안마당 쪽으로 반 칸 확장하고 한쪽에는 뒤주를 설치하였다는 점이다. 정지는 마구와 붙어 있는데, 정지 윗부분에는 다락이 있고, 마구는 현재 창고로 활용한다. 정지 부뚜막에는 크고 작은 솥 세 개가 걸려 있고, 윗부분에는 안방에서 이용하는 다락이 있다. 안방 뒤에 있는 도장방은 안방에서만 이용하도록 평면 계획하였고, 샛방 뒤로 반 칸 벽장이 있었으나 지금은 통칸으로 넓혔다.
안채 샛방과 사랑방 사이에는 샛방 정지가 있는데, 샛방 쪽으로 난방용 아궁이를 두었고, 윗부분에는 사랑방에서 이용하는 다락이 가설되어 있다. 사랑방에는 사랑마루 사이에 쌍여닫이 굽널세살문을 달았다. 한편 내외부간의 매개 역할을 위한 쪽마루가 안방과 사랑방 바깥에 각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면 구성상 사랑채가 있는 좌익사를 안방과 정지의 우익사와 대문간보다 기단을 높여 격식을 차렸다. 구조는 막돌을 차곡차곡 쌓아올린 자연석 기단에 시멘트로 덧마감하였고, 방은 토벽에 회마감하여 도장이나 마구, 정지를 판벽으로 처리했다. 상부 가구는 안채 대청 상부만 5량가이고, 그 외는 3량가이다. 정지 뒷문 바깥에 있는 두지는 2칸 규모로 판벽에 장마루 바닥으로 근세에 지은 것이다. 변소는 블록조로 근년에 건립하였다.
[현황]
전체적으로 건립 당시의 모습이 잘 남아 있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울진군 내에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건립되었고, 보존 상태도 양호한 강릉유씨 종택과 동일한 평면 구성과 구조를 가진 ㅁ자형 주택이다. 두 가옥은 시기적, 지역적, 건립 주체적 측면에서 상통하는 점이 많아 이 지역 상류 주택을 파악하는 데도 좋은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