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375 |
---|---|
한자 | 有形遺産 |
영어공식명칭 | Tangible Heritage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역사/전통 시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
집필자 | 곽장근 |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가 큰 문화유산과 이에 준하는 고고 자료.
[문화유산과 유형유산]
우리 조상들의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은 당시인들의 삶의 지혜가 담겨 있으며, 한 나라와 민족의 구체적 표상으로 정체성을 대변해 주기도 한다. 근래에는 제3차 산업의 꽃이라는 관광산업과 연계되어 점차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문화유산’이라는 용어는 영국에서 산업혁명 이후 천연자원의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자연의 파괴와 역사적 문화유산의 훼손을 예방하기 위해 일어난 민간의 자발적 보호운동과정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62년에 「문화재보호법」의 제정과 함께 사용되었다. 인간의 인위적 환경과 자연환경이 유기적으로 서로 결합하면서 작용해 형성된 인류의 문화유산은 성곽·건축물·불탑 등의 유형문화재(Tangible Cultural Heritage)와 판소리·농악·선자장 등의 무형문화재(Intangible Cultural Heritage), 그리고 동물·식물·광물 등의 자연유산으로 나누어진다. 다시 유형유산을 세분하면 주거지로서 일반 주거건축과 조경건축, 근대 주거지가 있고, 무덤으로는 왕실무덤과 일반무덤, 근대무덤이 있으며, 이 밖에 궁궐과 관아, 성, 전적지가 있다. 농업, 어업, 염업, 제조업, 요업, 광업과 관계된 것들과 교통, 통신, 교육, 문화 및 유물 산포지, 일반회화, 불교회화, 불교조각, 생활공예 등 대부분의 문화재가 유형유산에 속한다.
[국가지정문화재]
완주군의 국가지정문화재 중 완주 화암사 극락전(完州花巖寺極樂殿)[국보 제316호]은 우리나라에 단 하나뿐인 하앙식(下昻式) 구조[바깥에서 처마 무게를 받치는 부재를 하나 더 설치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일반 구조보다 처마를 훨씬 길게 내밀 수 있게 한 구조]로 1605년(선조 38)에 세웠다. 그리고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完州威鳳寺普光明殿)[보물 제608호], 완주 화암사 우화루(完州花巖寺雨花樓)[보물 제662호], 완주 송광사 대웅전(完州松廣寺大雄殿)[보물 제1243호], 완주 송광사 종루(完州松廣寺鍾樓)[보물 제1244호],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順天松廣寺塑造四天王像)[보물 제1467호],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유물(完州松廣寺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腹藏遺物)[보물 제1274호],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完州安心寺金剛戒壇)[보물 제1434호], 완주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完州淨水寺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보물 제1853호], 완주 위봉산성(完州威鳳山城)[사적 제4713호], 완주 구 삼례양수장[국가등록문화재 제221호], 완주 구 만경강 철교[국가등록문화재 제579호], 완주 구 삼례 양곡창고[국가등록문화재 제580호], 완주 화암사 괘불도[국가등록문화재 제625호] 등으로 국보 1점, 보물 8점, 사적 1개소, 국가등록문화재 4점 등 총 14점이 지정되었다.
[전라북도 지정문화재]
완주군의 전라북도 지정문화재로는 유형문화재가 22점, 기념물이 6점, 문화재 자료가 3점이 지정되었다. 지정유형문화재는 송광사 일주문(松廣寺一株門)[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호], 송광사사적비(松廣寺史蹟碑)[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호], 화암사동종(花岩寺銅鐘)[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0호], 위봉사요사(威鳳寺寮舍)[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9호], 대원사용각부도(大院寺龍刻浮屠)[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 수만리마애석불(水滿里磨崖石佛)[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4호], 화암사중창비(花岩寺重創碑)[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94호], 진묵대사부도(震默大師浮屠)[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08호], 안심사사적비(安心寺事蹟碑)[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고산향교대성전(高山鄕校大成殿)[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6호], 남계정(南溪亭)[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4호], 송광사동종(松廣寺銅鐘)[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8호], 송광사명부전소조지장보살삼존상및권속상일괄(松廣寺冥府殿塑造地藏菩薩三尊像및眷屬像一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8호], 송광사오백나한전목조석가여래삼존상및권속상일괄(松廣寺五百羅漢殿木造釋泇如來三尊像및眷屬像一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9호], 송광사목조삼전패(松廣寺木造三殿牌)[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0호], 송광사나한전(松廣寺羅漢殿)[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2호], 송광사금강문(松廣寺金剛門)[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3호], 안심사소장동종(安心寺所藏銅鐘)[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대원사목조삼세불좌상(大院寺木造三世佛坐像)[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15호], 완주 송영구 신도비(完州 宋英耉 神道碑)[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32호]이다. 기념물로는 웅치전적지(熊峙戰蹟地)[전라북도 기념물 제25호], 이치전적지(梨峙戰蹟地)[전라북도 기념물 제26호], 추수경장군묘역(秋水鏡將軍墓域)[전라북도 기념물 제94호], 경복사지(景福寺址)[전라북도 기념물 제108호], 되재성당지(升峙聖堂地)[전라북도 기념물 제119호]가 있다. 문화재 자료로는 송광사벽암당부도(松廣寺碧庵堂浮屠)[전라북도 문화재 자료 제144호], 용계산성(龍溪山城)[전라북도 문화재 자료 제175호], 안심사부도군(安心寺浮屠群)[전라북도 문화재 자료 제186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