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615
한자 李穡
영어공식명칭 Lee Saek
이칭/별칭 영숙(潁叔),목은(牧隱),문정(文靖)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배상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28년연표보기 - 이색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41년 - 이색 진사시 입격
활동 시기/일시 1348년 - 이색 원나라 국자감 입학
활동 시기/일시 1388년 - 이색 문하시중 제수
몰년 시기/일시 1396년연표보기 - 이색 사망
출생지 괴시리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지도보기
외가|처가 괴시리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성격 문신
성별
본관 한산
대표 관직 문하시중

[정의]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고려 후기 문신.

[개설]

이색(李穡)[1328~1396]은 영덕 출신의 고려 말 충신이다. 공민왕 연간 신진사대부를 양성하였다. 성리학 수용에 앞장섰으며, 왕조 교체기 고려 왕조에 절의(節義)를 지켰다.

[가계]

이색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영숙(潁叔), 호는 목은(牧隱),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한산이씨 가문의 시조는 이윤경(李允卿)이다. 할아버지는 한산(韓山)의 군리(郡吏)였던 이자성(李自成)이다. 아버지는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이곡(李穀)으로 영해의 대현(大賢) 김택(金澤)의 딸 함창김씨(咸昌金氏)와 혼인하면서 영덕 지역에 거주하게 되었다. 이색의 부인은 권중달(權仲達)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활동 사항]

이색은 아버지 이곡과 어머니 함창김씨의 1남 4녀 중 외아들로 외가인 경상도 영해부 괴시리[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서 태어났다. 1341년(충혜왕 2) 진사시에 입격하고, 이듬해 부음(父蔭)으로 별장(別將)이 되었다. 1348년(충목왕 4) 관료[조관(朝官)]의 아들 자격으로 원나라 국자감(國子監)에 입학하여 생원으로 수학하였다. 1353년 과거에서 지공거(知貢擧) 이제현(李齊賢) 등이 이색을 장원으로 뽑았으며, 그 이듬해에는 원의 제과(制科)에 급제하는 등 학문적 재능을 인정받았다.

이색은 고려 말 정치·사회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족적을 남겼다. 1352년 전제(田制)와 국방, 학제와 과거제, 불교 문제 등에 대한 복중 상소를 올렸으며, 1356년 시정(時政)에 관한 8조목의 상소를 올렸는데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능력 중심의 인재 등용을 역설하는 것이었다. 1359년과 1361년에 걸쳐 홍건적이 침입하자 왕을 안동으로 시종하여 신축호종공신(辛丑扈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1365년 과거제의 개혁에 참여하였고, 성균관이 다시 지어지자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으로 활동하면서 성리학의 부흥에 기여하였다. 1379년 우왕의 사부(師傅)가 되었으며, 1388년 위화도 회군에 찬성하였고, 요동정벌에 대한 책임을 묻는다는 명분으로 우왕의 폐위와 창왕의 옹립에 동조하였다. 이후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임명되었으나 1389년(창왕 1) 당시 현안 문제로 떠오른 사전혁파(私田革罷) 논의에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함으로써 이성계(李成桂)·정도전(鄭道傳) 등 급진개혁파와 길을 달리하였다.

이후 정도전 등은 이색을 개혁에 반대하는 세력으로 몰아 탄핵하고 정몽주(鄭夢周)를 살해한 뒤 조선왕조를 개창하였다. 고려 말 당을 결집하여 난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논죄되었으며, 1396년(태조 5) 여주 신륵사(神勒寺)에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색은 이제현과 함께 원나라 국자감에서 주자 성리학을 공부하였다. 이후 고려에서 성리학 보급에 앞장섰으며, 정몽주·정도전·권근(權近)·이숭인(李崇仁) 등 많은 신진사대부 문인들을 배출하였다. 저서로는 1404년(태종 4) 편찬된 55권 24책의 『목은집(牧隱集)』이 전한다. 영덕과 관련된 작품으로는 「관어대부(觀魚臺賦)」가 있다.

[묘소]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묘소가 있다.

[상훈과 추모]

1396년(태조 4) 태조는 이색의 부음을 듣고 문정(文靖)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장단의 임강서원(臨江書院), 청주의 신항서원(莘巷書院), 한산의 문헌서원(文獻書院), 영덕의 단산서원(丹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영덕군에서는 이색의 행적을 추모하기 위해 2003년부터 목은문화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의 생가터에 목은이색기념관을 건립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