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390
한자 榮州新岩里磨崖如來三尊像
영어공식명칭 Rock-carved Buddha Triad in Sinam-ri, Yeongju
이칭/별칭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1439-30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0년 9월 16일연표보기 -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보물 제68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보물 재지정
현 소장처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1439-30 지도보기
원소재지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1439-30
성격 불상
재질 석재
크기(높이) 본존불 높이 130㎝|양쪽 협시불 높이 각각 108㎝
소유자 국유
관리자 영주시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마애불상.

[개설]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榮州新岩里磨崖如來三尊像)영주시 이산면 신암리의 들판 가운데 세워져 있다.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내성천에 접한 미륵당들의 북서쪽 가장자리 보호각에 봉안되어 있는데, 삼국시대 말기 또는 통일신라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호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작은 기와집으로 벽면이 없고 4개의 기둥과 기둥 사이를 낮은 목책이 이어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형태]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의 본존불 높이는 130㎝이고, 양쪽 협시불 높이는 각각 108㎝이다. 원래 바위의 4면에 모두 불상이 조각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마멸되어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외에는 형체를 거의 알아볼 수 없다.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역시 마멸이 심한 편으로 세부 표현은 확실히 드러나지 않으나 대체적인 윤곽은 알아볼 수 있는 정도이다.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의 본존불은 화염문이 새겨진 원형의 두광을 지니고 있다. 원각(圓刻)에 가깝게 높은 부조로 새겨진 얼굴은 갸름하면서도 뺨에 팽팽하게 살이 붙은 모습이다. 머리는 소발에 큼직한 육계가 솟아 있다. 이목구비의 표현은 알 수 없으나 두 귀가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손 모양은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으로 보인다. 양어깨를 덮은 통견의 법의는 앞가슴이 U자형으로 패였으며, 여기에 속옷을 맨 띠 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이처럼 얼굴 형태와 긴 귀, 그리고 수인의 모습이나 옷 주름의 양식 등은 모두 옛날식의 불상 양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좌우의 협시보살 역시 화염문이 새겨진 원형의 두광을 가진 입상인데, 얼굴은 본존불과 마찬가지로 갸름하면서도 팽팽한 양감이 느껴지며 머리에 삼면 보관을 쓰고 있다. 이목구비의 표현은 알 수 없고 특히 두 눈은 삼존불 모두 깊게 패어 있다. 보살상의 신체는 어깨가 매우 좁으며 몸의 굴곡은 표현되어 있지 않다. 체구에 비해 큰 얼굴, 좁은 어깨, 묵직한 천의 자락 등에서 삼존불이 모두 비슷한 양식임을 알 수 있다. 보살상의 옷 주름 등 표현 양식은 장식성이 거의 없는 단순함을 보이며 선이 굵고 양감 있게 표현되어 있다. 바위의 남면에도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과 같은 양식으로 보이는 좌상이 외곽만 확인되고 있다.

[특징]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의 삼존불 구도와 불보살상의 특징은 인근에 있는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 제221호]과 가장 유사하며 민머리에 단구의 비례, 부드러운 양감 등은 경주 남산 삼화령 출토 석조삼존불상(慶州南山三花嶺出土石造三尊佛像)과 비교되는 점에서 대체로 신라 말기에서 통일기로 접어드는 7~8세기에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형식은 통일신라 초기 영주 지역에서 특히 유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은 1980년 9월 16일 보물 제68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은 마모가 심하지만 이른 사방불의 예인 점이 중요하고, 마애불이지만 민속적인 바위 신앙의 요소가 불교와 융합되어 나타난 사례인 점도 주목된다.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은 신라 7~8세기에 유행했던 마애불의 특징은 물론, 신라의 불교 신앙이 중앙에서 지역으로 전파되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