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787
한자 2015光州夏季-大會
영어공식명칭 2015 Gwangju Summer Universiade
이칭/별칭 제28회 하계유니버시아드,광주유니버시아드,광주U대회
분야 문화·교육/체육
유형 행사/행사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병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작 시기/일시 2015년 7월 3일연표보기 -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개회
폐지 시기/일시 2015년 7월 14일연표보기 -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폐회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7월 14일 -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대한민국 종합 1위 달성
행사 장소 광주월드컵경기장 - 광주광역시 서구 금화로 240[풍암동 423-2]지도보기
행사 시기/일시 2015년 7월 3일~7월 14일
홈페이지 https://www.gwangju2015.com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2015년에 개최한 국제 규모의 종합 스포츠 경기.

[개설]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는 광주광역시에서 처음 치러진 국제 종합 대회이다. 대회 비전은 EPIC이다. 친환경[Eco], 평화[Peace], 기술[IT], 문화[Culture]의 약자이다. 대회 슬로건은 '창조의 빛, 미래의 빛'이다. 유니버시아드대회의 시상식장에서는 1위 선수의 국가(國歌) 대신 「젊은이의 노래」라는 국제대학스포츠연맹[International University Sports Federation, FISU]의 공식 찬가를 사용한다. 대회마다 대학스포츠연구회의[Commission for the Study of the University Sports, CESU]라는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학술적인 발전도 꾀하고 있다.

[연원 및 개최 경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는 국제대학스포츠연맹에서 주관하여 2년마다 열리는 세계 대학생 스포츠 대회이다. 1923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학생경기대회가 시초인데, 그 뒤 세계대전을 거치며 유럽의 동부권과 서방권의 분열로 대회를 별도로 진행하였다. 이후 단일화되면서 1959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제1회 대회 때부터 유니버시아드[University와 Olympiade의 합성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59년 제1회 토리노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때 임원 1명과 육상 종목 선수 11명이 참가하였다. 그 뒤 2회, 3회, 4회, 8회를 제외하고 계속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1997년에는 전라북도 전주와 무주에서 제18회 동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개최하였으며, 2003년 대구광역시에서 제22회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개최하였다.

광주광역시는 우리나라에서는 세 번째로 유니버시아드대회를 개최하였으며, 2009년 5월 24일 국제대학스포츠연맹 총회에서 광주광역시를 제28회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개최지로 결정하였다.

[행사 내용]

2015년 7월 3일부터 12일간 열렸다. 총 143개국에서 선수단 1만 2337명 등 관계자 포함 1만 736명이 참가하였다. 이는 당시 역대 최대 규모이다. 경기 종목은 총 21개로 정식 종목과 선택 종목으로 구분된다. 정식 종목은 육상, 농구, 펜싱, 축구, 기계체조, 리듬체조, 유도, 수영, 다이빙, 수구, 탁구, 테니스, 배구로 13개 종목이며, 선택 종목은 배드민턴, 태권도, 골프, 핸드볼, 양궁, 사격, 조정, 야구로 8개 종목이었다.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준비하면서 운영비 절감을 위해 경기장은 4개만 신설하고, 기존 경기 시설은 국제 규격에 맞도록 개·보수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다 보니 광주광역시를 넘어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북도의 일원에서도 경기가 열렸다. 총 경기장 수는 37개였으며, 훈련장으로 32개를 사용하였다.

경기 기록도 풍성하였는데, 세계 신기록 2개와 대회 신기록 27개를 기록하였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47개, 은메달 33개, 동메달 28개로 대한민국 스포츠 역사상 처음으로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 1위를 달성하였다. 대회와 연계하여 유니버시아드 파크, 마켓 스트리트, 청년 난장 페스티벌, 경기장별 문화 행사 등 44개의 문화행사와 전시회, 학술대회를 진행하였다. 관람객은 총 52만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티켓 판매 51만 장 등 판매 수입은 53억 원이었다.

[현황]

2015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조직위원회는 1총장, 7본부, 20부, 1단, 1소, 1실, 1담당관, 63팀 체제로 운영하였다. 별도의 현장 TF팀, 사무처장, 현장 매니저, 경기부, 시설부, 운영부로 구성하여 대회를 준비하였다. 조직위원회와 별도로 자원봉사자 9800여 명, 시민 서포터즈 총 5만 명이 선수단 환영과 환송 행사, 경기 응원, 문화관광 및 쇼핑 등을 안내하는 역할을 맡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