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1965
한자 -入學圖說-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종교/유교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학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2년 7월 28일연표보기 - 입학도설(1992) 보물 제113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입학도설(1992) 보물 변경 지정
성격 초학자용 성리학 입문서
관련인물 권근|김이음| 변계량|권도|이숙묘|하연|정척|이수|반무량
저자 권근
저술연도/일시 1390년(공양왕 2)
편찬연도/일시 1390년(공양왕 2)연표보기
간행연도/일시 1425년(세종 7)연표보기
권수 불분권
책수 1책
가로 19.2㎝
세로 33.3㎝
간행처 경상도 진주목(晉州牧)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처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경기도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권근이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의 판본.

[개설]

입학도설(1992)권근(權近)[1352∼1409]이 1390년(고려 공양왕 2)에 처음 학문을 시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저술한 성리학 입문서로, 전집(前集) 단간본과 전·후집 합간본(合刊本)의 두 가지가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소장본은 합간본으로 1425년(세종 7) 이수(李穗)와 반무량(潘茂良)의 지휘 하에 경상도 진주목에서 목판으로 간행된 것이다. 1992년 7월 28일 보물 제113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변경 지정되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발간경위]

입학도설(1992)의 전집은 1397년(태조 6) 진양 도호부사 김이음(金爾音)에 의해 간행되었으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장서각 소장본은 합간본 중에서 시기가 가장 이른 것으로 저자의 아들 권도(權蹈)가 주선하고, 박융(朴融), 이숙묘(李叔畝), 하연(河演)의 협조를 받아 진주목에서 목사 이수(李穗)와 판관 반무량(潘茂良)의 지휘 하에 간행되었다. 판서본의 글씨는 봉상시 주부 정척(鄭陟)이 썼다. 참고로 이와 동일한 판본이 경남 양산의 대성암(大聖庵)에도 소장되어 있는데, 현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94호로 지정되어 있다.

[서지적 상황]

입학도설(1992)은 후학들에 의해 꾸준히 계승되어 김반(金泮)의 『속입학도설(續入學圖說)』, 권채(權採)의 『작성도(作聖圖)』, 『작성도론(作聖圖論)』의 저술로 이어졌다. 특히 「대학지장지도」는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圖)』의 중 제4도인 「대학도(大學圖)」에, 「천인심성합일지도」는 「천명도설(天命圖說)」에 영향을 주어 조선 후기 성리학의 이론적 심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형태]

입학도설(1992)의 분량은 불분권 1책(59장)이다. 책 크기는 가로19.2㎝, 세로 33.3㎝이며, 반곽은 가로 14.2㎝, 세로 21.2㎝이다.

[구성/내용]

입학도설(1992)의 체제는 크게 서문(序文), 도해(圖解), 발문(跋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저자 권근이 직접 지은 것인데, 기년은 1390년이다. 발문은 1425년 저자의 문인변계량(卞季良)이 지은 것이다. 간행자들의 역할과 명단을 기록한 간기(刊記)가 탈락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대성암 소장본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저자가 서문에서도 밝혔듯이 이 책은 초학자들에게 성리학의 기초 지식을 쉽게 이해시키는 데 저술의 동기가 있었기 때문에 문자의 설명 속에 그림을 끼워 그 부족한 것을 보조한 풀이 방식, 즉 도설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내용은 전집 수록분인 「천인심성합일지도(天人心性合一之圖)」, 「천인심성분석도(天人心性分釋圖)」, 「대학지장지도(大學指掌之圖)」, 「중용수장분석도(中庸首章分釋圖)」, 「제후소목오묘도궁지도(諸侯昭穆五廟都宮之圖)」 등 26종과 후집에서 추가된 「십이월괘지도(十二月卦之圖)」, 「주천삼신지도설(周天三辰之圖說)」, 「일기생윤지도설(日期生閏之圖說)」 등 14종을 합해 총 40종의 도설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