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171
한자 白石浦里
영어공식명칭 Baekseokpo-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백석포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종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아산군 영인면 백석포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95년 1월 1일 - 충청남도 아산군 영인면 백석포리에서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백석포리로 개편
성격 법정리
면적 6.11㎢
가구수 227가구[2019년 1월 31일 기준]
인구[남/여] 457명[남 232명, 여 225명][2019년 1월 31일 기준]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백석포리(白石浦里)는 백석포1리, 백석포2리로 이루어지며 영인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4㎞ 정도에 있는 전형적인 농어촌마을이다. 예전에는 아산만과 접하여 배가 드나드는 포구마을로서 어업과 상업이 발달하였으나, 현재는 아산만댐 조성과 간척사업으로 많은 농경지가 조성되어 자연스럽게 농촌마을로 변하였다.

[명칭 유래]

‘백석포리’라는 명칭은 마을에 흰돌이 많아 ‘백석포(白石浦)’라 불리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형성 및 변천]

백석포리는 원래 조선시대 아산현 이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어촌(漁村)인 상리와 하리를 병합하여 백석포리라 하고 아산군 영인면에 편입되었다. 1995년 1월 1일 행정구역 조정으로 아산군과 온양시를 통합하여 아산시로 개편되면서 아산시 영인면 백석포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백석포리는 당진에서 충주로 이어지는 국도 34호선이 마을 앞을 지나는 교통이 편리한 마을이다. 마을 뒤로는 아산호가 있고 마을 동쪽으로 월랑산[원랑산]이 있어 전체적으로 마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낮은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너른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다. 부제학, 대사성 등을 지낸 조선 중기의 문신 동주(東州) 이민구(李敏求)가 아산으로 귀양살이를 와서 지은 「백석어촌(白石漁村)」이란 시가 있으며, 조선 초의 문신 귀산(歸山) 김구(金鉤)의 『귀산실기』에는 「백석포귀범(白石浦歸帆)」이란 시를 지어서 오교대 팔경 중 하나로 꼽을 정도로 백석포리는 아름다운 풍광을 뽐냈던 마을이다.

[현황]

백석포리의 면적은 6.11㎢이며, 2019년 1월 기준 인구는 227가구에 총 457명으로 남자가 232명, 여자가 225명이다. 백석포1리, 백석포2리의 2개 행정리로 이루어졌으며 백석포1리의 안말과 백석포2리의 샛말을 중심으로 등말, 배터, 점촌 등 5개의 자연마을이 있다. 김해김씨가 10대 이상 세거해 왔으며 전주이씨와 경주김씨 등이 차례로 많은 세대를 이루고 있다. 지금도 음력 섣달 그믐에는 마을회관 뒷산에 있는 산제당에서 산제를 지내고 있으며, 과거 어업이 한창일 때는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용신제를 올렸다. 1970년대 초에 아산만방조제를 막음으로써 바다가 옥토로 변하여 현재 ‘속펄’이라는 들로 불리며, 간척지 쌀을 생산하면서 어촌에서 농촌으로 바뀌었다.

『영인향토지』에 의하면 정조 때 수원에 화성을 쌓는 일에 동원되는 것을 피해 많은 사람들이 이곳으로 이주해 오기도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시대 몽골군과 왜구아산만으로 침입하여 고난이 많았고, 조선 말에는 청일전쟁의 시발지이기도 했다. 당시 청나라 군대가 1894년 6월 9일부터 44일간 주둔하여 마을 주민과 아산현민들의 많은 고난이 있었던 기억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곳이다. 그때의 일을 기록한 「아산현청국군병주찰시전용하성책」과 「아산현청국대군찰주시태용하성책」이 있다.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개선문을 세웠던 곳이며, 일제강점기에는 어업조합을 만들어 운영하여 오다 1970년경 당진군의 한진어업조합과 합병되어 지금은 창고만 남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