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당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1271
한자 佛堂祭
영어공식명칭 Religious Ritual for the God of Buddhist Shrine[Fire-proof Shrin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집필자 곽규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 장소 미륵제 -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의식리 지도보기
의례 장소 미륵고사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호산1리 지도보기
성격 의례
의례 시기/일시 연중
신당/신체 돌미륵|철미륵|부처 모양의 자연 괴석

[정의]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 토지와 마을을 지켜주는 불당의 신에게 행하던 제의.

[개설]

불당제(佛堂祭)의 개념과 어원에 대한 정의는 분명하지 않다. 지역에 따라 ‘불에 타지 않는 신당’에서 행하는 제사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부처를 모신 신당’에서 행하는 제사라는 의미로 활용되기도 한다. 충청남도 아산 지역에서는 오래전부터 불당제가 시행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미륵불을 모시는 법당에서 행해진 경우가 많았다. 불당제를 시행해 마을의 안녕과 평화, 지역의 화재 예방을 기원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연원 및 변천]

불당제의 연원과 시초를 문헌으로 정확하게 확인하기는 어렵다.

[신당/신체의 형태]

신당의 형태는 불당이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숭배의 대상은 돌미륵, 철미륵, 미륵 모양의 자연 괴석 등으로 그 형체가 확인된다.

[현황]

충청남도 아산 지역의 불당제는 시대 변화와 지역 개발로 현재는 대체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다만 『아산의 동제』와 『아산시지』불당제 시행에 대한 기록이 있다. 아산 지역에서는 수철2리에서 정월대보름에 돌미륵을 섬기는 불당제를 지낸 기록이 있다. 내곡이 제수(祭需)를 담당하고 제수로는 삼색 과일[대추, 밤, 감]이 사용됐다. 하지만 마을이 수철3리로 분화되면서 불당이 철거되고 그 자리에 정자가 들어서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 신동1리에서는 철미륵[철륵]을 섬기는 불당제를, 음봉면 의식리정월대보름에 미륵제를 지낸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이 마을은 마을 어귀에 할아버지, 할머니 비석이 각각 마주 보고 있는데, 이 비석 앞에서 마을의 평화와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미륵제를 지냈다.

해마다 윤번제로 돌아가며 제주(祭主)를 정했다. 탕정면 호산1리는 안버이마을 숲 안쪽에 있는 자연 괴석을 미륵불로 숭상해 미륵당이라는 불당을 세우고 정월대보름 전날 동제로 미륵고사를 시행했으나, 1970년대 새마을운동 당시 당집을 강제 철거한 이후로는 감로암에서 자연산 미륵불을 옮겨 별도로 암자를 지어 모시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