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800864 |
---|---|
한자 | 保寧 禪林寺 木造觀音菩薩坐像 |
이칭/별칭 | 보령 선림사 목조관음보살 좌상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충청수영로 521-64[소성리 산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성권 |
문화재 지정 일시 | 2011년 7월 20일 - 보령 선림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
---|---|
현 소장처 | 선림사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충청수영로 521-64[소성리 산5] |
성격 | 불상 |
재질 | 나무 |
크기(높이) | 59㎝[높이]|36.6㎝[무릎 너비] |
소유자 | 선림사 |
관리자 | 선림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15호 |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선림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불상.
[개설]
선림사(禪林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사찰의 주 법당인 대웅전에는 조선 후기 제작된 보령 선림사 목조석가여래좌상(保寧 禪林寺 木造釋迦如來坐像)과 보령 선림사 목조관음보살좌상(保寧 禪林寺木造觀音菩薩坐像)이 봉안되어 있다. 목조석가여래좌상의 높이는 49.4㎝이며, 목조관음보살좌상의 높이는 59㎝이다. 2011년 7월 2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형태]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대웅전 내에 봉안된 목조석가여래좌상의 좌협시보살(左脇侍菩薩)이다. 우협시보살(右脇侍菩薩)은 근래에 조성된 지장보살상(地藏菩薩像)이 있다. 목조관음보살좌상의 크기는 본존불인 목조석가여래좌상보다 높이가 10㎝가량 더 크다. 목조관음보살좌상의 크기로 보았을 때 본래 목조석가여래좌상의 협시불(脇侍佛)로 조각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머리에는 화려한 보관(寶冠)을 쓰고 있으며 오른손에 작은 정병(淨甁)을 들고 있다.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가슴 높이로 들고 있다. 착의법은 양어깨 위로 천의(天衣)를 둘렀으며 천의 자락이 허벅지 아래까지 흘러내린다. 무릎에는 화문(花文)이 화려하게 장식된 갑대(甲帶)를 착용하고 있다. 갑대는 무릎보호대와 비슷한 모습이며, 17~18세기 충청남도와 호남 지역의 불상과 불화에서 많이 표현되는 지역적 특성을 보여준다.
[특징]
방형의 얼굴에 단정하며 엄숙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천의와 갑대를 착용하고 있는데,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報恩 法住寺 木造觀音菩薩坐像),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順天 松廣寺 木造觀音菩薩坐像), 공주 갑사 대적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公州 甲寺 大寂殿 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 등과 유사한 모습이다. 모두 17세기 중·후반기에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주로 활동한 조각승 혜희(慧熙)의 작품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보령 선림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역시 혜희나 혜희의 제자들로 이루어진 혜희 유파의 조각승들이 17세기 후반 또는 18세기 초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목조관음보살좌상 내부에서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묘법연화경요해서(妙法蓮華經要解序)』 8권, 다라니(陀羅尼) 1매, 개금 원문(改金 願文) 등의 복장물이 발견되었다.
[의의와 평가]
시대성과 예술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조선 후기 불교 조각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