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500065 |
---|---|
한자 | 德裕山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덕성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지훈 |
전구간 | 덕유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충청북도 진천군 |
---|---|
해당 지역 소재지 | 덕유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덕성리 |
성격 | 산 |
높이 | 416m |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덕성리와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지암리 경계에 있는 산.
[개설]
덕유산(德裕山)은 높이 416m로 천안시의 동쪽에 위치한다. 덕성리 일대에서 용두천이 발원하는데, 덕유산이 속한 연속적인 산지가 용두천의 분수령이라 할 수 있다. 덕유산과 함께 만뢰산[611m], 환희산[402m], 국사봉[360m] 등이 연속적인 산지를 구성하며 천안시의 동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덕유산의 동쪽으로는 성암천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고 있는데, 용두천이 속한 병천천 하류 유역과 성암천이 속한 미호천 중류 유역의 경계로 자리 잡고 있다
[명칭 유래]
지명에서 사용되는 ‘덕(德)’ 자는 우리나라 산 이명에서 자주 사용된다. 가장 유명한 예로 국립 공원으로 지정된 전라북도 무주군 일대의 덕유산을 들 수 있는데 산이 크고 골이 깊으며, 정상부가 평평해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지역에 따라서는 덕스러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덕 자를 표기하는 예도 있다. 한편 덕성리의 바타니 마을은 일명 배성(排星)이라고도 한다. 덕유산을 포함한 연속적인 산지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박달안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바타니라 부르게 되었다.
[자연환경]
덕유산 일대는 중생대 쥐라기 대보 매입 화강암류에 속하는 조립 우백질 화강암과 선캄브리아기 서산층군 경기 변성암 복합체에 해당하는 호상 흑운모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덕유산은 환희산, 국사봉과 연속적인 산지의 양상을 보이지만, 지질학적 관점에서 산지를 구성하는 암상의 차이점이 관찰된다. 국사봉은 호상 흑운모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덕유산과 환희산은 조립 우백질 화강암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이는 국사봉이 덕유산과 환희산에 비해 더 오래된 산지임을 알려준다. 따라서 덕유산은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 조산 운동에 의해 발생한 관입(貫入)에 의해 생성된 암체가 모체라 할 수 있다.
덕유산 일대의 지형이 소규모 곡저(谷底)가 협재된 산지의 양상을 띠고 있으나, 국사봉 동쪽의 성암천과 서쪽의 용두천이 흐르는 곡저만이 특정할 수 있는 제4기 충적층에 해당한다.
덕유산의 토양 특성은 인셉티솔(Inceptisol)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국지적으로 알피솔(Alfisol)이 협재되어 있다. 하지만 그 범위는 덕유산 동쪽 산기슭에 존재하는 소규모 곡저 내에 일부 분포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현황]
덕유산 일대는 전형적인 산지에 해당하며, 천안시 경계의 동쪽에 자리 잡고 있기에 도심과는 거리가 멀다. 천안시를 벗어나 충청북도 진천군 관내인 덕유산 북동쪽 약 1.8㎞ 지점에 아크 벨리 컨트리클럽이 위치하고, 천안시 관내인 덕유산 북서쪽 약 2㎞ 지점에 동산 식물원이 자리 잡고 있다. 이는 덕유산 일대가 위락 기능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진천군 관내인 덕유산 남동쪽 약 2.1㎞ 지점에 정송강사(鄭松江祠)가 자리 잡고 있다. 정송강사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시인인 송강(松江) 정철(鄭澈)[1536~1593]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용두천이 흐르는 곡저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발달한 가운데 수지상(樹枝狀)으로 작은 곡저들이 발달해 있다. 이들은 대부분 농지로 사용되고 있어, 덕유산 일대의 주요 산업 기반은 농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덕유산 북서쪽으로 약 1.3㎞ 지점에 국도 21호선이 지나고 있다. 국도 21호선은 천안시 관내를 동에서 서로 가로지르는 도로로서, 덕유산 일대의 접근성을 한층 수월케 하여 덕유산 일대의 위락 시설에 대한 접근 및 생산된 농산물의 유통에 핵심 축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