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500083
한자 國師峰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지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국사봉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충북 진천군 문백면
해당 지역 소재지 국사봉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지도보기
성격
높이 288m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과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의 경계에 있는 산.

[개설]

국사봉(國師峰)은 높이 약 288m의 산으로 천안시 행정 경계의 가장 동단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 환희산[402m], 북서쪽으로 덕유산[416m]이 위치하며, 세 산이 연속적인 산지를 이루고 있다. 덕유산 인근 동면 덕산리 일대에서 발원한 용두천국사봉 서쪽에 발달한 곡저를 따라 흐르고 있으며, 국사봉에 연한 산지가 용두천의 분수계라 할 수 있다. 또한 국사봉 동쪽으로 약 2.3㎞ 지점에 발달한 곡저에 성암천이 흐른다. 용두천은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금계리 일대에서 병천천과 합류하고, 성암천은 충청북도 청원급 오창읍 도암리 일대에서 합류하게 된다.

[명칭 유래]

국사봉에는 전염병을 치료한 승려와 관련한 일화가 전해온다. 과거 천안과 진천 일대에 전염병이 돌아 많은 사람이 죽었는데, 이때 한 승려가 나타나 돌림병을 두려워하지 않고 환자들을 돌보았다고 한다. 승려가 봉우리에 올라 천제(天祭)를 지낸 후 전염병이 사라지자, 인근 주민들이 승려의 은덕을 기리려 국사(國師)라 하였으며, 천제를 지낸 봉우리를 국사봉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일화가 그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에는 국사봉 지명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데, ‘국사’는 무속 사회에서 굿을 하던 곳을 나타내는 말로서 굿의 이두식 표기라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자연환경]

국사봉 일대의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 대보 매입 화강암류에 속하는 조립 우백질 화강암과 선캄브리아기 서산층군 경기 변성암 복합체에 해당하는 호상 흑운모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이한 점은 덕유산환희산국사봉과 연속적인 산지이지만, 지질학적 관점에서 보면 구성하는 암상이 국사봉과 다르다는 것이다. 국사봉은 호상 흑운모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덕유산환희산은 조립 우백질 화강암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이는 국사봉덕유산환희산에 비해 더 오래된 산지임을 알려주며,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 조산 운동에 의해 발생한 관입(貫入)에 의해 덕유산환희산을 구성하는 암체가 생생되어 현재에 이른다 할 수 있다. 일대의 지형이 소규모 곡저(谷底)가 협재된 산지의 양상을 띠고 있으나 국사봉 동쪽의 성암천과 서쪽의 용두천이 흐르는 곡저는 제4기 충적층에 해당한다.

토양의 형태적 분류에서 국사봉의 토양 특성은 인셉티솔(Inceptisol)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국지적으로 엔티솔(Entisols)이 협재되어 있으나, 그 범위는 동쪽 산기슭에 존재하는 소규모 곡저 내에 일부 분포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현황]

명칭의 유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돌로 쌓은 제단이 있다. 또한 신라의 토축 산성으로 파악되는 국사봉산성이 남아 있다. 국사봉산성은 남북 길이 300m, 동서 너비 100m, 둘레 약 700m 가량이 현존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문헌 기록은 없지만 진천의 남서쪽에 해당하는 천안 방면을 방어하기 위하여 신라가 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사봉 일대의 토지 이용 양상은 농업과 관계되는 이용 양상이 우세하게 나타나며, 주변의 곡저가 논이나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남측 산기슭 바로 아래 곡저에 저수지가 있는 것을 비롯하여 반경 약 1㎞ 이내에 저수지 세 개소가 관찰되고 있다. 따라서 국사봉 일대는 천안, 청주와 같은 인근 대도시의 배후지로서, 농산물을 공급하는 성격을 띠고 있다.

그 외에 국사봉 인근에는 아트 밸리 컨트리 클럽과 동산 식물원, 우주 탐사 관측소 등이 있다. 이는 인근의 지가가 도심 지역에 비해 저렴한 장점 덕분에 레저·스포츠 및 학술 연구와 관련된 시설이 입지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 『한국 지명 유래집』-충청 편(국토 해양부 국토 지리 정보원, 2010)
  • 「1:25,000 지형도」-전의(건설부 국립 건설 연구소, 1970)
  • 국토 해양부 하천 관리 지리 정보 시스템(http://www.river.go.kr)
  • 농촌 진흥청 한국 토양 정보 시스템(http://asis.rda.go.kr)
  • 디지털 진천 문화 대전 (http://jincheon.grandculture.net)
  • 한국 지질 자원 연구원 지질 정보 시스템(http://geoinfo.kigam.re.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