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60004947 |
---|---|
한자 | 漂海錄 |
이칭/별칭 | 금남표해록,중조견문일기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광주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고성혜 |
간행 시기/일시 | 16세기 중종 연간 - 『표해록』 간행 |
---|---|
소장처 |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
소장처 |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430] |
성격 | 표류기 |
저자 | 최부 |
권책 | 3권 2책 |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인 최부의 중국 표류기.
[개설]
『표해록(漂海錄)』은 1488년(성종 19)에 제주도에서 배를 타고 전라도 나주로 향하던 중 풍랑을 만나 14일간 바다에서 표류하다가, 중국 명나라 태주부(台州府) 임해현(臨海縣)에서 중국 베이징을 거쳐 조선으로 돌아온 행적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여행기이다.
[저자]
최부(崔溥)[1454~1504]의 자는 연연(淵淵), 호는 금남, 시호는 충열(忠烈), 본관은 탐진(耽津)이다. 아버지는 최택(崔澤)이며, 전라도 나주에서 태어났다.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1431~1492]에게 수학하였으며, 삼괴당(三魁堂) 신종호(申從濩)[1456~1497],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1454~1504] 등과 교유하였다. 1482년(성종 13)에 과거 급제 후 홍문관교리, 사가독서(賜暇讀書), 추쇄경차관(推刷敬差官) 등을 지냈다.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저서로 『표해록(漂海錄)』 등이 있다.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자리한 무양서원(武陽書院)에 배향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표해록』은 풍랑으로 중국을 표류하다가 조선에 돌아온 최부가 1488년(성종 19)에 성종의 명으로 그간의 견문을 기술하였으며, 16세기 중종 연간에 간행되었다.
[형태/서지]
『표해록』은 3권 2책의 금속활자본이다. 최부의 호를 따라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으로도 불렸다. 이후 목판본, 목활자본, 필사본 등 다양한 형태로 간행되었다. 한문본은 국내외 여러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한글 필사본 2종은 국립중앙도서관과 서강대학교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표해록』은 최부가 겪은 자신의 체험을 ‘출항-표류-귀국’이라는 시간 흐름에 따라 서술하는, 일기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표해록의 가장 보편적인 구성이다. 『표해록』은 최부가 표류하면서 겪은 운명적인 순간, 위기의 상황에서 직면하는 일행과의 갈등, 그리고 거기에서 목격할 수 있는 인간의 본모습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또 극한의 상황에서의 어려움과 하늘의 도움을 바라는 인간의 나약함, 적재적소에서 발동하는 지혜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외에도 15세기 중국 연안의 해로(海路)나 기후, 풍속 등을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표해록』은 1511년(중종 5) 『중종실록』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이때 표해록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하였으며, 이후 표해록은 표류 체험을 기록한 글이라는 일반 명사로 사용되었다. 또한 『표해록』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유일한 표해록이자 현재 전하고 있는 표해 기록문 중 가장 오래된 귀중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