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지도』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597
한자 海東地圖慶山縣河陽縣慈仁縣地圖
영어공식명칭 『Haedong Jido』「Gyeongsan-hyun·Hayang-hyun·Jain-hyun Map」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감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해동지도』「경산현·하양현·자인현 지도」 보물 제1591호 지정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제1591호

[정의]

18세기 제작된 『해동지도』에 수록된 경산현·하양현·자인현의 군현 지도.

[개설]

『해동지도(海東地圖)』는 18세기 영조 연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繪畫式) 군현지도로 제작자는 미상이다. 지도는 「조선전도(朝鮮全圖)」와 「서북피아양계전도(西北彼我兩界全圖)」를 덧붙여 하나의 지도책으로 완성하였다. 『해동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해동지도』는 제작자가 미상이기 때문에 어떤 경위를 가지고 편찬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그 내용에 세계지도[천하도], 중국·일본 등의 외국 지도와 북경궁궐도, 관방지도 등이 수록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국가적 차원에서 이용하기 위해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편찬 시기도 정확한 시점을 알 수 없는데, 지도의 기록을 보면 1748년(영조 24)부터 1750년(영조 26)까지 내용이 있고, 1751년(영조 27)에 폐진(廢鎭)된 경상도의 7개 진보(鎭堡) 정보가 없는 점으로 보아 1750년대 초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해동지도』는 채색 필사본으로 크기는 세로 47㎝, 가로 30.5㎝이다.

[구성/내용]

지도책의 구성은 총 8책으로 제1책은 경기도, 제2책은 해서전도·관서전도, 제3책은 관동전도·북관전도, 제4책은 서북피아양계전도, 제5책은 영남전도, 제6책은 호서전도, 제7책은 호남전도, 제8책은 팔도총도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천하도, 중국도, 황성도, 북경궁궐도, 왜국지도, 유구지도 등으로 수록되어 있다. 경산현·하양현·자인현의 지도는 제5책에 있다.

경산 지역은 조선 시대 경산현·하양현·자인현으로 존재했기에 『해동지도』에서 각각의 지도로 존재했다.

「경산현지도」를 보면 군현의 모습이 상하(上下)가 반전(反轉)되어 그러졌다. 따라서 현의 북쪽 경계인 금호강(琴湖江)이 하단에 있고 청도와 경계를 한 남쪽의 마암산(馬岩山)은 상단에 위치해 있다. 읍치의 중심건물인 아사(衙舍)와 객사(客舍)는 성첩(城堞)이 방형(方形)으로 그려진 경산읍성 안에 있으며 성안의 못 2개도 확인할 수 있다. 성문의 명칭은 서문(西門)인 진옥루(鎭玉樓)만 표기되었다. 향교(鄕校)와 고산서원(孤山書院)은 집 모양의 회화로 그렸고 봉수(烽燧)는 주기(注記)에서 확인되지만 지도에는 표시하지 않았다. 행정 구역인 동·서·남·북 읍내의 면은 각자의 자리에 글자로 나타냈다. 산맥은 모두 ‘∧’ 형 모양의 그림으로 연결된 산도(山圖)의 화법으로 표현되었다. 남쪽의 산줄기는 마암산을 중심으로 양쪽에 송정현(松亭峴)과 이어현(伊於峴)이 길게 늘어져 청도와 경계를 하고 있다. 북쪽은 금호강이 현을 관통하면서 하양과 경계를 나누고 있다. 동쪽은 구현(鳩峴)과 오목천(烏木川)이 자인과 접하며 서쪽은 장현(墻峴)과 눌현(訥峴)이 대구와 인접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지도 사방에는 군현의 연혁과 성곽, 호구(戶口), 방리(方里), 조세 관련 부분, 군병총수(軍兵摠數), 산천, 서원, 역원(驛院), 봉수, 사찰 등의 상세한 내용이 주기(注記)되어 있다.

「하양현지도」에서 읍치의 건물인 위사와 객사는 집 모양의 회화로 그렸고 향교와 망춘정(望春亭) 및 허조(許稠)를 제향한 금호서원(琴湖書院)도 그림으로 지도에 표시되었으나 사직단(社稷壇)은 글로 대체되었다. 관내(管內)를 흐르는 하천은 청색 바탕의 흑색 실선으로 그러졌으나 남천(南川)을 제외하고는 명칭이 생략되었다. 행정 구역인 구읍내면(舊邑內面), 와촌면(瓦村面), 마양면(磨陽面), 낙산면(樂山面), 중림면(中林面)은 각자의 위치에 글자로만 표기됐다. 산지는 ‘∧’ 모양이 연접해 있는 회화식으로 산맥으로 그렸다. 남쪽의 산줄기는 두락산(豆落山)과 금전산(金磚山)이 연결되어 경산과 자인을 경계로 삼고 있고 북쪽의 산맥은 팔공산(八公山)이 신녕(新寧)과 경계를 두고 있다. 동쪽의 권역(圈域)은 명칭이 생략된 하천이 영천(永川)과 접해있고 서쪽은 초례산(醮禮山)과 광명산(光明山)이 연결되어 대구와 인접해 있다.

지도를 중심으로 하양현에 대한 주기가 기록되어 있다. 내용을 보면 성곽은 없고 원호(元戶)와 전답(田畓)의 수, 곡물총수(穀物摠數), 군병총수, 사방의 거리 및 하양현의 연혁과 봉수, 산창(山倉), 사찰 등의 간략한 내용이 수록되었다.

「자인현지도」를 보면 중요 건축물인 아사와 객사, 낙산루(樂山樓), 관창(官倉) 및 대흥사(大興寺)와 이언적(李彦迪)을 모신 회재관란서원(晦齋觀瀾書院)이 집 모양의 회화로 표시됐다. 행정 구역인 가촌면(加村面), 구사현면(仇史縣面), 대사동면(大沙洞面), 동내면(洞內面), 마사리면(馬沙里面)과 원당리(元堂里), 당리(堂里), 계림리(鷄林里), 구화리(仇火里), 남방리(南方里), 영상리(嶺相里) 등이 각자의 위치에 글자로 명기됐다. 산맥은 모두 ‘∧’ 형 모양의 그림으로 연결해서 그렸고 남쪽의 삼성산(三聖山)이 청도와 20리에 걸쳐 경계를 이루고 북쪽은 박거산(朴距山)과 백월산(白月山), 대왕산(大王山)이 연결되어 자인과 영천을 접하고 있다. 동쪽의 권역은 구룡산(九龍山)까지고 밀양과 맞닿아 있으며 서쪽은 현성산(賢聖山)과 구화봉(仇火峰)이 경산과 구역을 나누고 있다.

지도의 상단과 우측에는 자인현의 주기가 있는데 성곽은 없다는 기록과 호구 및 곡물총수, 군병총수 및 읍치를 기준으로 면과 다른 군현의 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경산과 하양의 주기보다는 내용이 소략하다.

[의의와 평가]

『해동지도』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지도」 는 18세기 경산현·하양현·자인현 지역의 실상을 살펴보는 데 좋은 자료이다. 또 같은 시기에 제작된 다른 지도류(地圖類)보다 주기의 내용이 상세한 편이어서, 경산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상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 『해동지도』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kyujanggak.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