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220 |
---|---|
한자 | 仁溪里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인철 |
개설 시기/일시 | 1912년 - 전라남도 동복군 외서면 인동리 개설 |
---|---|
변천 시기/일시 | 1914년 - 전라남도 동복군 외서면 인동리에서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로 개편 |
지명 | 인계리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 |
성격 | 법정리 |
면적 | 4.43㎢ |
가구수 | 71가구 |
인구[남,여] | 131명[남자 58명, 여자 71명]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는 자연 마을인 송계(松溪)·용계(龍溪)·인동(仁洞)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현재는 서동(瑞洞)·용강(龍江)·송계로 이루어져 있다.
[명칭 유래]
인계리의 지명은 인동 마을의 인(仁)자와 송계 마을·용계 마을의 계(溪)자를 각각 취한 것이다. 서동 마을은 처음에 서석산(瑞石山)[현재의 무등산(無等山)]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하여 서동촌이라 하였다. 후에 인동(仁洞) 마을이라 하였는데 인동 마을은 어진 사람이 난다는 뜻이다. 현재는 서동 마을이라 부르는데 서석산 아래에 있는 동네라는 의미이다.
용강 마을은 처음에는 물이 따뜻하다 하여 온수골이라 불렀다고 하며, 이후 용계 마을이라 하였는데 마을이 산등[용(龍)] 아래 골짜기[계(溪)]에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1976년에 이르러 ‘용계’가 발음이 좋지 않다 하여 마을 이름을 용강이라 개칭하였는데 같은 의미이다.
송계 마을은 처음에는 마을 모습이 삽 모양이라 하여 삽재라 불렸는데, 다시 송계라고 하였다. 마을에 큰 소나무가 있었다 하여 생긴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1789년 『호구 총수』에는 동복현(同福縣) 외서면(外西面) 서동촌(瑞東村)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1912년 『지방 행정 구역 명칭 일람』에는 전라남도 동복군 외서면 인동리(仁洞里)으로 기록되어 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시 동복군이 화순군으로 통합되면서 외서면과 내서면은 이서면(二西面)으로 통합되어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인계리(仁溪里)로 개편[송계 마을·용계 마을·인동 마을·유평 마을·상신 마을·석인 마을 각 일부]되었다.
[자연환경]
인계리는 화순군 이서면 북서쪽에 있으며 동~서 방향의 한 일(一)자 모양으로 길게 늘어진 형상을 하고 있다. 북쪽에는 북산[782m]이 있고 서쪽으로는 무등산(無等山)[1,187m]을 경계로 하고 있다. 중앙부와 서쪽은 산악 지역이며 동쪽에 산록완사면이 펼쳐지며 들이 형성되어 있다.
서동 마을 동쪽으로는 평야지가 형성되어 있고 담양과 접하는 부분에 망월봉이란 바위산이 있다. 서쪽으로는 무등산이 있는데 무등산에서 발원한 용당 폭포가 있고. 무등산에서 발원한 골짜기 물이 마을 중심을 지나 동쪽으로 흘러간다. 남쪽은 무등산 자락이 뻗어 있어 용강 마을과 구분되며 북쪽으로는 구룡 고개를 넘어가는데 전라남도 담양군 쪽에서 뻗은 산등이 자리 잡고 있다.
용강 마을은 무등산 자락이 서북쪽으로 뻗어와 용당 굴산을 이루며 마을의 북쪽을 감싸며 동쪽까지 뻗어 내리고 있는데 외부와는 남동쪽으로 열려 있고 남쪽도 무등산 자락이 이어져 있다. 산등사이로 서쪽에 있는 무등산에서 발원한 내가 용당 폭포[23m]를 만들고 마을 가운데를 지나 서남쪽으로 흘러 용계제 저수지로 유입된다.
송계 마을 동쪽과 북쪽은 구룡 고개에서 이어진 산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쪽은 무등산 줄기가 마을 뒤까지 형성되어 있다. 남쪽도 무등산 자락이 뻗어 있는데 무등산에서 발원한 내[천(川)]가 마을 북쪽을 거쳐 서남쪽으로 흘러간다. 내를 경계로 담양군과 구분된다.
[현황]
2012년 현재 4.43㎢의 면적에 71가구 131명[남자 58명, 여자 71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인계리는 동쪽으로 만월리, 서쪽으로 무등산 국립공원 천왕봉과 꼬막재, 남쪽으로 영평리, 북쪽으로 무동리와 인접하여 있다. 인계리는 1구(區)[서동 마을·송계 마을]와 2구[용강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주산물은 벼이고 특산물은 고추와 한우이며 주 소득원은 벼이다.
문화 유적으로 절터, 영일 정씨 석곽묘 출토 터, 한계당(寒溪堂), 조탑[2기] 등이 있다. 그밖에 용당 폭포, 용강 저수지[보월제 저수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