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379 |
---|---|
한자 | 輿地圖和順縣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건학 |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여지도』에 포함된 화순 지역의 지도.
[개설]
『여지도』는 비경위선 표식 군현 지도집으로 전국 모든 군현을 비교적 작은 크기의 지도책에 그림으로써 이용에 편리한 장점을 지닌다. 이를 통해 군현 지도의 보급에 기여하였으며, 지지적인 내용을 지도 뒷면에 상세하게 기록함으로써 지지를 지도의 부록으로 활용하여 지도만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각 지역에 대한 역사·사회·경제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형태 및 구성]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소장의 『여지도』는 3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3첩 중 2첩은 팔도가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황해도·평안도·강원도·함경도 순으로 구성된 대축척의 군현 지도집이다.
『여지도』 「화순현」 지도는 『광여도』 「화순현」 지도와 전체적인 구도와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여지도』 「화순현」 지도는 동서가 남북보다 긴 화순현을 남북 방향의 길이가 더 긴 종이 위에 그렸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가 하천의 합류 방향 등에서 발견된다. 『여지도』는 정상기의 「동국지도」를 제작의 저본으로 활용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도가 「동국지도」와 비슷하다.
[특징]
『여지도』 「화순현」 지도에 나타나는 화순현은 광주계(光州界)·남평계(南平界)·능주계(綾州界)·동복계(同福界)로 둘러 싸여진 경계 속에 그려져 있다. 객사가 지도의 정중앙에 위치하며 동면·남면·서면으로 각 지역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봉산·대암산·서석산 등 화순현 주변 산지와 쌍계사·만연사 등 지역 경관이 뚜렷하게 확인된다. 주기가 달려 있어 18세기 조선 시대 후기 화순현의 지리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도 큰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