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석굿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875
한자 帝釋-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집필자 이경엽

[정의]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 제석신을 청배해서 복을 비는 굿거리.

[개설]

제석굿은 독립된 굿의 이름이 아니라 큰굿 연행 중에 진행되는 한 절차 이름이다. 가족들의 복락을 축원하는 내용의 절차여서 주목을 받는 굿거리다. 산 사람의 복을 차근차근 빌어주는 내용으로 구성돼 있어서 연행 시간도 긴 편이며, 음악적 짜임새도 가장 복잡한 편이다.

[신당/신체의 형태]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서는 제석굿을 할 때 상 앞의 칠성불이라 하는 초 7개를 먼저 켠다. 초 대신에 일곱 개의 심지를 참기름이 담긴 그릇에 넣고 칠성불을 켜기도 한다. 칠성이란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격인데, 제석굿 안에 칠성에 대한 의식이 복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절차]

제석굿을 할 때 무녀는 머리에 흰 고깔을 쓰고 흰 장삼을 걸친다. 화순 지역에서는 과거에 흰 장삼 대신에 제가집 주인의 두루마기를 빌려 입기도 했다.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의 박정녀 무녀에 의하면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더 일반적이었다고 한다.

굿이 시작되면 무녀가 지전을 들고 상 앞에 서서 진양조의 무가를 부른다. “오시는 구나 제석님이 오시는 구나 달과 같은 바래 광장 해와 같이 들어 메고 해와 같은 바래 광장 달과 같이 들어 메고 천왕 제석님이 오시는 구나 산에 올라 산신 제석 들로 내려서 용신 제석 집으로 들어 부루 제석 삼제석이 오시는구나.” 하는 진양 장단의 '제석 맞이'를 부른다. 그리고 중모리로 염불을 부르는데, 이때는 주무의 뒤쪽에 앉은 무녀들이 제창으로 따라 부른다.

한참을 그렇게 한 후 판소리의 아니리처럼 말로 “금일 망자 씨를 모시고 극락 가고 시왕 가시라고 제석님을 모셔 봅시다.”라고 하고, 이어 제석신의 좌정 내력을 담은 서사 무가 제석 풀이를 부른다. 무녀는 처음과 같은 자세로 지전을 손에 들고 상을 향해 서서 흘림 장단에 맞춰 제석 풀이를 가창한다. 제석 풀이를 부른 후에는 앉아서 밥그릇 뚜껑을 두드리며 축원 무가를 부른다. 이어 말로 재담을 한 후 중모리 장단에 맞춰 염불을 부른다. 그리고 다시 말로 재담을 하고, 흘림 장단에 맞춰 무경을 외운다. 이런 식으로 말과 무경을 번갈아 세 번 반복한 후 무녀가 말로 축원을 하고 고깔을 벗는다. 끝으로 소지를 올리면서 축원하는 ‘소지말’을 하고 제석굿을 마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