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0386
한자 鎭川三龍里百濟土器窯址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삼용리 산 56-3|56-5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박중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1년 7월 28일 -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사적 제51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사적 재지정
성격 가마 터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4세기경
지정면적 3,432㎡
소재지 주소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삼용리 산 56-3|삼용리 56-5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삼용리에 있는 백제시대 가마터.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진천 삼용리 백제 토기요지는 1986년에 시행된 중부고속도로 건설 구간의 문화 유적 발굴 조사 중 확인된 가마터로서 우리나라에서 원삼국시대에 해당하는 서기 3세기 이전의 것으로 알려진 두드림무늬토기, 즉 타날문토기(打捺紋土器)를 만들어 내던 백제 때의 대형 도요지이다.

지정 면적은 3,432㎡로 총 6기의 가마가 발굴되었는데, 길이 2.4m의 소형부터 7.9m에 이르는 대형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이들 요지들은 초기의 소형에서 시기가 내려가면서 점차 대형화되었는데, 가장 큰 특징인 수직식(垂直式) 또는 수혈식의 연소부와 장타원형의 평면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출토 토기들의 기술적 유형과 기종의 출몰, 기종별 형식의 변천 과정에 따라 요지군의 상대 순서는 일단 1-5단계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이를 다시 시기적으로 가까운 것을 묶어 3기로 나눈 다음 진천 요지군에서 생산되어 공급된 것으로 보이는 토기들이 출토된 유적들을 통해 볼 때, 진천 요지군의 조업 연대는 서기 3세기 전반에서 4세기 중반까지로 판단되었다. 발굴한 가마터에서 남쪽으로 약 1㎞ 지점에 토기의 태토(胎土)로 쓰기에 좋은 양질의 대규모 점토산지(粘土産地)도 확인되었다.

[현황]

진천 삼용리 백제 토기요지는 1991년 2월 21일 사적 제344호로 지정되었다. 발굴 조사가 끝난 후 원형 그대로 매립하였으며, 비슷한 시기에 있던 인근 덕산면산수리 요지보다 규모는 작지만 훨씬 고식(古式)이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은 주로 고운 태토로 만들어진 타날문토기로, 몸통이 둥근 목 짧은 항아리[短頸壺]와 큰 그릇형태의 토기[深鉢形土器]가 대부분이다. 2011년 7월 28일 진천 산수리 백제요지와 하나로 묶어 사적 제511호로 재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사적으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진천 삼용리 백제 토기요지는 타날문토기를 만들던 대형 요지군 가운데 대표적인 도요지로서 당시 토기 제작 수법에 관한 연구에 매우 중요한 유적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03.09 [현황] 내용 수정 보충 내용: 2011년 7월 28일 진천 산수리 백제요지와 하나로 묶어 사적 제511호로 재지정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