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701358 |
---|---|
한자 | 洞祭 |
영어공식명칭 | Village Ritual|Dongje |
이칭/별칭 | 당제,당산제,동신제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죽월리|하남읍 수산리|단장면 법흥리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현대/현대 |
집필자 | 박양리 |
[정의]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빌고자 마을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동제(洞祭)는 당산제(堂山祭), 당제(堂祭), 동신제(洞神祭)라고도 하며,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비는 목적으로 진행되는 마을 제사이다.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는 자연 마을을 단위로 각 지역에서 동제가 진행되었다. 밀양 지역의 동제는 전통사회에서는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고 화합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지역 내의 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말미암아 점차 간소화되었다. 일부 동제는 등록문화재로 전승되거나 축제의 일부로 축소되어 전승되기도 한다.
[동제의 연원]
동제의 연원는 고대 중국의 문헌 기록을 보면 삼한(三韓)의 제천(祭天) 행사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대체로 농경이 시작되고 자연 마을이 형성되면서 자연스럽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빌고자 특정한 마을신을 모시는 동제가 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제의 방식]
동제의 대상이 되는 마을신은 대체로 서낭신, 산신, 용왕 등으로 불리는데, 각 자연 마을의 형성 조건에 따라 조금씩 성격이나 신체가 다르다. 밀양 지역에서는 주로 당산나무가 마을신으로 모셔지고 있는데, 무안면 죽월리 죽월마을 당산제의 경우에 수령이 수백 년을 훌쩍 넘은 느티나무와 향나무를 당산나무로 모셔 왔다. 동제를 올리는 시기도 마을마다 조금씩 다른데, 보통 정월 초하루나 정월대보름에 지내지만 때에 따라서는 삼월삼짇날에 지내기도 한다. 단장면 법흥리의 법흥마을 당산제는 정월대보름에 지내며, 하남읍 수산리의 당말리 당산제는 삼월삼짇날에 지낸다.
일반적으로 동제는 마을 주민 중 한 명으로 제관으로 선출하고 마을 주민들이 합심하여 지내는 것이 보편적인데, 이 경우 주로 초헌(初獻)과 아헌(亞獻)·종헌(終獻)의 삼헌과 독축(讀祝)으로 이어지는 유교식 기제사의 방식을 따른다. 이에 비하여 무당을 따로 초청하여 당굿을 올리는 경우에는 먼저 유교식의 당제부터 지내고 당굿을 하여 유가식과 무속이 복합된 이중제의의 형식을 갖추기도 한다. 밀양 지역의 동제 가운데 법흥마을 당산제는 유교적 제의를 비교적 준수하고 있으며, 당말리 당산제의 경우 무속인이 주관하여 무속적 성격이 비교적 강하게 드러난다.
[현황과 의의]
최근에는 밀양 지역 내의 고령화와 인구 유출 때문에 동제는 점차 그 절차가 간소화되거나 사라지는 추세이며, 일부 동제의 경우 종교적·제의적 성격은 약화되고 민속놀이로서의 연희적 성격이 강화되기도 하였다. 예컨대 단장면 법흥리 법흥마을에서 전승되고 있는 밀양법흥상원놀이는 본래는 정월대보름에 마을에서 행하던 동제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고 부북면 감내마을에서 전승되는 감내게줄당기기 역시 본래 감내마을 동제의 부대 행사였는데, 현재는 동제가 오히려 놀이의 일부 마당으로 축소되는 변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원래 동제는 마을을 수호하고 안녕을 도모하여 주는 마을신을 통하여 개인의 삶을 넘어서 공동체의 건강과 평안을 간절하게 기원하는 제의적 기능이 투영되어 있다. 게다가 마을 구성원이 함께 준비하여 행하는 동제는 준비 과정부터 마을 주민들의 단합 속에서 이루어지며 진행 과정에서 마을 주민들 사이의 결속감을 더욱 강화한다. 특히 동제 뒤에 수반되는 민속놀이와 굿판은 삶의 긴장을 해소하고 마을 구성원들 사이의 대립과 갈등을 풀어내는 축제적 성격을 보여 주기도 한다. 즉, 밀양 지역의 동제는 예부터 종교적 의식을 넘어 마을공동체를 형성하고 유지시키는 사회적 기능을 아울러 담당하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