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900632 |
---|---|
한자 | 李宜顯 |
영어공식명칭 | Yi Uihyeon |
이칭/별칭 | 덕재(德哉),도곡(陶谷),도수(陶叟),도산(陶山),문간(文簡)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신채용 |
출생 시기/일시 | 1669년 5월 18일 - 이의현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694년 - 이의현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96년 - 이의현 예문관검열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705년 - 이의현 이조좌랑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708년 - 이의현 동부승지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721년 - 이의현 이조판서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722년 - 이의현 운산군에 유배 |
활동 시기/일시 | 1727년 - 이의현 우의정 재임 중 파직 |
활동 시기/일시 | 1735년 - 이의현 영의정 역임 |
몰년 시기/일시 | 1745년 4월 8일 - 이의현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747년 - 이의현 문간(文簡)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음 |
출생지 | 소격동 -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격동 |
거주|이주지 | 양주 도산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
유배|이배지 | 운산군 - 북한 평안북도 운산군 |
묘소|단소 | 이의현 묘소 -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산28-30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용인(龍仁) |
대표 관직 | 영의정 |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가계]
이의현(李宜顯)[1669~1745]의 본관은 용인(龍仁)이며, 자는 덕재(德哉), 호는 도곡(陶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후연(李後淵)이고, 할아버지는 파주목사 이정악(李挺岳)이다. 아버지는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이고, 어머니는 군수 정창징(鄭昌徵)의 딸 연일 정씨(延日 鄭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감사 어진익(魚震翼)의 딸 함종 어씨(咸從 魚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주부 송하석(宋夏錫)의 딸 은진 송씨(恩津 宋氏), 세 번째 부인은 류인(柳寅)의 딸 전주 류씨(全州 柳氏)이다.
[활동 사항]
이의현은 1669년(현종 10) 5월 18일 한성부 진장방 소격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격동]에서 태어났다. 1689년(숙종 15) 아버지 이세백이 송시열(宋時烈)의 유배를 반대하여 파직되자 아버지를 따라 고양 원당촌(元堂村)에 거주하였고, 1694년 풍양(豊壤)[현 남양주시 진건읍] 성릉사(成陵寺)에 우거하던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을 찾아가 『논어(論語)』 등 경전을 배웠다. 1694년 치러진 별시 문과에 병과 4위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가 되었다.
이의현은 이후 예문관검열·봉교·예조좌랑·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 등을 거쳐 1705년 이조좌랑이 되었다. 1706년 홍문관수찬에 임명되었고, 1708년 당상관인 동부승지에 올랐다. 1721년(경종 1) 이조판서가 되었고, 연잉군(延礽君)[훗날 영조(英祖)]의 왕세제 책봉을 청하는 정청에 참여하였다가 환국이 일어나 관작을 삭탈당하고 문외출송되었다. 1722년 임인옥사에 연루되어 평안도 운산군(雲山郡)에 유배되었다가, 영조 즉위 후 방면되었다. 형조판서·이조판서 등을 거쳐 1727년(영조 3) 우의정에 올랐지만, 정미환국으로 다시 소론이 집권하자 파직되어 선영이 있는 양주 도산(陶山)[현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에 은거하였다.
이의현은 1728년 방면되었고, 이인좌의 난이 발발하자 판중추부사로 기용되어 가담자의 처벌을 담당하였다. 이후 1735년에 영의정에 올랐다. 1738년 기로소에 들어갔고, 1742년 사직을 청하여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1745년 4월 8일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의현의 저술로는 1766년 간행된 문집인 『도곡집(陶谷集)』이 있다.
[묘소]
이의현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산28-30에 있다.
[상훈과 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