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700452 |
---|---|
한자 | 無後祭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강원도 삼척시 |
집필자 | 이창식 |
의례 장소 | 무후제 - 강원도 삼척시 성남동 무후제당 |
---|---|
성격 | 제례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9월 초정일, 음력 9월 9일 |
신당/신체 | 무후제당 |
[정의]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후손 없이 별세한 고인들을 위해 지내는 제례.
[개설]
무후제(無後祭)는 후손 없이 별세한 고인들을 위해 지내는 제사로 삼척 일대에서 성행하였으며, 매년 음력 9월 초정일이나 9월 9일에 지내는 제사이다.
[연원 및 변천]
무후제는 무자후제사라고도 불린다. 후손을 남기지 못한 사람이 죽기 전에 자신의 전답이나 돈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사후에 무후제를 지내달라고 부탁하는데서 기원하였다. 삼척 일대에 이러한 무후제가 성행한 이유는 이 일대가 탄광 지대였다는 점에 있다. 탄광 지대에는 떠돌아다니는 유랑민, 광산인이 많았고 이들이 후사가 없이 죽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이러한 연유에서 무후제가 성행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절차]
삼척 지역의 무후제는 어떤 사람이 땅을 조금 내놓고 자신이 죽으면 제사를 지내달라고 부탁해서 지내기 시작했다고 한다. 땅은 ‘가는골’에 있으며, 옛날에는 이 땅에 농사지은 사람이 제사를 지내주었으나 밭을 묵힌 뒤로는 동네에서 제사를 지내준다. 무후제를 부탁한 사람들이 남긴 재산을 가지고 제사의 비용을 충당하기도 한다. 묘지의 유래나 성씨를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제사를 지낼 때 신위 없이 제사를 지낸다. 제물은 주민들이 조금씩 모아서 지내며, 제의 방식은 유가식(儒家式)으로 진행된다. 주과포(酒果脯)·메·떡 등 제물을 차려놓고 홀기(笏記)대로 삼헌관이 지낸다. 무후제를 지내는 마을 사람들은 해마다 벌초를 해준다. 무연고자들을 위해 마을 단위에서 전승하고 있는 제사라는 점이 특징이다. 이 제사는 제사를 통해 후대에 자신의 흔적을 남기고자 하는 사람들의 애착이 반영되었다고도 볼 수 있는 민속의례로 양자를 들여 가문을 잇고자 하는 것과 달리, 재산을 지역이나 마을에 환원하면서 개별적인 제사를 지내게 하는 방법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축문]
금이(今以) [지금]
상로기강지시(霜露旣降之時) [서리 이미 내린 시기에]
추감기물(追感寄物) [기물을 추억하다 보니]
세제례행(歲祭例行) [제삿날이 다가왔습니다.]
신기감응(神其感應) [신령께서는 감응하시어]
사유흔행(似有欣幸) [흔쾌히 행복하셨으면 합니다.]
유승불첨(猶勝不瞻) [오히려 기꺼움이 보이지는 않더라도]
반유무성(反愈無誠) [도리어 성의 없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자이서품(玆以庶品) [이에 제물을 장만하여]
기천세사(祇薦歲事) [시절에 제사를 올립니다.]
상향(尙饗) [흠향하시옵소서.]
[부대 행사]
무후제당은 강원도 삼척시성남동 문화예술회관 뒷산에 있으며 매년 각 주민센터가 주관하며 봉행하고 있다.
[현황]
삼척시 외 강릉지역 일부에서도 무후제를 지내는 곳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급격하게 줄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