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석굿풀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742
한자 帝釋-
이칭/별칭 「제석본풀이」,「당금아기」,「시준 풀이」,「초공 본풀이」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집필자 조도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4년연표보기 - 『서산의 옛소리』에 수록
성격 민요
기능 구분 무가
박자 구조 4·4조의 4음보 율격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인간의 삶을 주재하는 제석신의 유래를 풀이한 무가.

[개설]

‘제석’은 원래 불교에서 불법을 수호하는 신 제석천(帝釋天)에서 유래한다. 「제석굿풀이」는 큰 굿의 제석거리나 무의(巫儀)에서 낭송되는 제석신의 내력담이다. 이를 「제석본풀이」, 「당금아기」, 「시준 풀이」, 「초공 본풀이」 등이라고도 한다. 지역마다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 「제석굿풀이」는 서사 구조의 동일함으로 인해 공통적 유형으로 설정한다. 주인공인 당금아기가 온갖 재난을 극복하고 삼신으로 좌정하는 줄거리가 일반적인 「제석굿풀이」의 내용이지만, 서산 지역의 「제석굿풀이」는 구비 전승되면서 다른 노래와 결합하여 변이되는 양상을 보인다.

[채록/수집 상황]

「제석굿풀이」는 무가(巫歌)와 관련한 민요 중에서 가장 일반적이며,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었고 전국적인 분포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오늘날 서산 지역의 「제석굿풀이」를 재연하기는 어려운데, 민속 문화의 변화와 창자의 사망으로 인한 전승의 단절 등이 그 원인이다. 현재 채록·수집된 「제석굿풀이」는 1994년 서산문화원에서 간행한 『서산의 옛소리』의 17~18쪽에 실려 있다.

[구성 및 형식]

4·4조의 4음보 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창자의 가창 방식에 따라 가변적인 특징을 보여 주며, 다채로운 사설로 노래에 생기를 불어넣고 있다.

[내용]

옛날 어느 집에 아름다운 딸이 있었는데 어느 날 가족들이 집을 비우고 그녀 혼자 집을 지키게 된다. 이때 그녀의 미모를 풍문으로 듣고 기회를 찾던 젊은 중이 나타나 시주를 청하면서 그녀를 유혹하여 정을 통한다. 임신을 한 그녀는 가족들로부터 버림을 받아 쫓겨나고 그 중을 찾아가 출산한다. 아이가 자란 뒤 그녀는 삼신이 되고 아이는 제석이 되었다는 내용이다. 전국적으로 보편적인 구조의 이 이야기는 서산 지역에서는 「지경요」「성주풀이」 대목을 인용하여 변이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서산의 「제석굿풀이」는 무속과 관련한 민간 신앙에 그 연원을 두고 있으며, 타 지역의 「제석굿풀이」와 비교하여 이 지역민의 정서와 가치관을 파악할 수 있다.

[현황]

「제석굿풀이」는 무가로서 노래의 성격상 전문적 수련을 거친 무속인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수를 받은 무속인에 한정하여 전승된 「제석굿풀이」가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서산의 「제석굿풀이」는 타 지역의 「제석굿풀이」와 상통하며, 전통 사회에서 민속 신앙을 믿으면서 서산 지역 주민이 꿈꾸어 온 소박하고 순수한 소망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