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금기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805
한자 禁忌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정태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피하거나 금기시 되는 말과 행동.

[개설]

금기어(禁忌語)는 사람의 어떠한 행위나 언사가 자신 및 타인에게 나쁜 해가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언어나 행동을 표현한 말이다. 금기어의 구조는 대개 ‘~하지 마라’, ‘~하면 ~나쁘다’로 이루어진 금지형이다. 대부분이 “무엇 무엇을 하면 무엇이 나쁘다”처럼 두 소절로 된 말로써 부정적인 뜻이 있다.

서산 지역에도 광범위한 금기가 금기어로 전래되어 오고 있다. 애초에는 종교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였을 것이나 시간이 흐르면서 사회적 인간관계에까지 확대되고, 아울러 사회적·윤리적 이유에 의해서도 형성되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오늘날 서산 지역의 금기어도 대개 일상적인 생활이나 민간 신앙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주로 어떤 행동을 하지 말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특징]

서산 지역에 전래되는 금기어의 몇 특징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에 대한 근원적인 공포에서 연유된 금기어이다. 둘째, 남존여비의 전통이 금기어로 전해 내려오는 경우이다. 여성들의 행동을 제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셋째, 어떤 행위가 복을 내보내거나 부정 타게 되므로 그 행위를 금기시하는 경우이다. 넷째, 금기하는 행위를 어겼을 경우에 인간관계에 손실을 주게 된다는 금기어이다.

이와 같이 서산 지역의 금기어는 서산 지역민들의 다양한 사고방식을 반영한 것이다. 현재 서산 지역민들의 의식 밑바탕에 깔려 있는 금기 사항들로서 생활의 한 측면인 것이다.

[사례]

1. 죽음의 공포에서 연유된 금기어

- 까그매[까마귀]가 짖으면 초상난다. 안 좋은 일이 생긴다.

- 밤에 까마귀가 울면 초상이 난다.

- 토혈을 할 때 동쪽에다 대고 하면 죽는다.

-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만약 깎으면 어미, 애비가 죽는다.

- 아이가 아프면 아이가 태어난 자리에 밥을 해 놓고 삼신을 위해야 한다.

- 베개를 높이 베면 명이 짧아진다.

2. 남존여비의 전통에서 연유된 금기어

- 여자가 길을 가로지르면 재수가 없어 안 된다[과부는 더 재수가 없다].

- 여자가 남의 집에 일찍 가면 못 쓴다.

- 여자가 남의 앞을 가로질러 가면 안 된다.

- 남자가 가는데 여자가 길을 건너면 안 된다.

3. 금지 행위에서 연유된 금기어

- 문지방에 올라서면 안 된다.

- 밥 먹고 금방 누우면 소가 된다.

- 아랫목에 머리를 두면 안 된다.

- 문지방에 올라서면 재수가 없어 안 된다.

- 베개를 깔고 앉으면 안 된다.

- 베개를 세워 놓으면 안 된다[상을 당했을 때 짚 베개나 세우는 것이다].

- 문지방, 목침, 베개에 오르거나 앉으면 재수가 없어 안 된다.

- 마루턱에 걸터앉으면 안 된다.

- 벽에다 다리를 얹고 자면 빚을 지게 된다.

- 밤에 돈이나 곡식을 남에게 주지 않는다.

- 어두운 후 곡식을 내면 복이 달아난다.

4. 인간관계에 주는 손실에 연유한 금기어

- 남의 집에 가서 손톱을 깎으면 그 집과 발을 끊게 된다.

- 손수건은 눈물받이이므로 주고받지 않는다.

- 손수건을 주고받지 않으며, 줍지도 않는다.

- 어른 앞에서 다리를 괴면 안 된다.

- 나이가 많은 사람 앞을 가로질러 가면 안 된다.

5. 기타

- 방안 사방에 거미가 거미줄을 치면 근심이 생긴다.

- 닭은 3년을 먹이지 않고, 개는 10년 키우지 않는다.

- 소고삐는 밟지 말고 머리 위로 올리고 지나간다.

- 산신과 개는 상극이므로 개고기는 절대 먹지 않는다.

- 거꾸로 누워 자면 안 된다.

- 거미가 내리면 좋지 않다.

- 저녁에 까치가 울면 집안이 안 좋다.

- 소고삐는 밟고 지나가야 한다. 만약 그냥 넘어가면 재수가 없다.

- 장을 담글 때는 버선을 붙이고 고추와 숯을 달아 금줄을 띠고 밥을 떠다 놓는다.

- 개꿈은 객귀가 나타난 것이다.

- 발을 맞대고 키를 이어자면 의리 없이 살게 된다.

- 애를 배었을 때 서리를 하면 아이가 도둑이 된다.

- 애를 배었을 때 구리질을 하면 아이가 언챙이가 된다.

- 송아지가 부정 들면 어미젖을 안 먹는다. 이럴 때는 물 한 바가지, 밥 한 바가지, 고추 열두 개, 향나무 쪽 열두 개를 차려 촛불을 켜고 재를 내어 부정풀이를 한 후 경을 읽고 소삼신에게 빌고 동서남북으로 물을 뿌린다.

- 거미가 내리면 소님이 오는데 손으로 받치면서 ‘주인일랑 내려오고 손님일랑 올라가라’ 한다.

- 눈다락지[다래끼]가 나면 팥 3개를 샘에 넣고 ‘내 눈 다락지 들어간다.’ 한다.

- 애 밴 사람은 소고삐를 넘어 다녀선 안 된다. 애가 열두 달이나 간다.

- 태중일 때 쥐구멍을 막지 않는다. 애를 더 이상 낳지 못한다.

- 봄에 흰나비를 보면 죽은 어머니를 보는 것이다.

- 보름날 키가 작은 사람이 집에 들어오면 안 된다.

- 정월에는 부적을 쓰지 않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