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00425
한자 火田
영어의미역 Fire Agriculture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집필자 김호동

[정의]

조선 말기부터 1968년 화전정리법이 공포되기 전까지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행해진 농경 방식.

[개설]

화전은 처녀지나 휴경지(休耕地)를 새로이 경작할 때 불을 놓아 야초와 잡목을 태워버리고 농경에 이용하던 땅이다. 화전 농업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농경 방식으로 인정되고 있다. 중국의 화경(火耕)이나 일본의 야키바타[燒畑]도 화전과 같은 농경 방식이다. 화전을 개척하면 그 동안에 쌓였던 부식물과 소각에 의해서 생기는 재가 풍부하므로 몇 해 동안은 작물의 생육이 양호하다.

우리나라에서 화전 농업은 작물의 재배와 더불어 시작되어 그 역사가 깊다. 광복과 더불어 화전민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화전이 행해졌다. 1968년 산림녹화와 토양 보존의 중요성 때문에 화전정리법(火田整理法)이 공포되었다. 이로써 주로 강원도 산간 지방에 남아 있던 화전민을 다른 지방으로 정착시켰으며, 화전은 법령으로 금지되었다.

[연원 및 변천]

울릉도의 화전 경작은 1883년 개척령에 의해 개척민들이 들어오면서 시작되었다. 개척민들은 처음부터 해변을 피하고 깊은 산골로 들어가 뭍에서와 같은 농촌 생활을 이어가려고 하였다. 화전을 일구고 움막을 짓고 겨울이 오기 전까지 열심히 일했으나 그 결과로 돌아온 것은 굶주림과 추위뿐이었다. 당시의 상황에서는 육지로 되돌아갈 수도 없어 굶어 죽는 사람들이 잇따랐다고 한다.

개척민들이 주로 화전 경작을 통해 농업을 한 구체적인 사실은 1917년 울릉도를 조사한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의 기록인 「인종, 고고학상에서 본 울릉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기록은 다음과 같다.

“조선인이 사는 곳은 주로 골짜기의 상류, 혹은 산의 매우 높은 곳이며, 나무를 불태워 없애고 화전 농사를 짓고 있다. 어업이라는 일은 최근에 하기 시작했으며, 주민의 생업은 주로 농업이다.”

“조선의 이주민이 화전이라고 하여 불을 놓아 산전(山畑)으로 하는 등의 일 때문에 (나무가) 점차 사라져, 지금은 예전과 같지 않다.”

“이 섬은 전체적으로 삼림으로 덮여 있었으며, 머리에 갓을 쓰고 길을 갈 수 없을 정도로 수목이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벌목과 화전 때문에 지금과 같은 상태로 되어버렸다.”

개척민들의 화전 농업과 일본인들의 벌목으로 인해 울릉도의 삼림은 점차 황폐해지게 되었다. 1968년 화전정리법이 공포됨에 따라 울릉도의 화전 경작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