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400454 |
---|---|
한자 | 燧院 |
이칭/별칭 | 부수원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전라남도 영암군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변남주 |
[정의]
지금의 전라남도 영암 지역 부선 마을 지역에 있었던, 공무상 여행하는 관리들에게 국가에서 지원하는 조선 시대의 숙박처.
[개설]
공무상 여행하는 관리가 이용할 수 있는 숙식처는 객사(客舍)와 원(院)이 있었다. 원(院)은 요로(要路)에 설치한 여관이라 할 수 있다. 영암의 수원(燧院)은 신북면 부선 마을에 설치된 원이다.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는 대부분의 원은 폐원되고 꼭 필요한 곳에서만 운영되었으나 수원의 경우는 조선 시기 내내 부선 마을에 있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역참 제도와 함께 역부와 역마를 이용하여 관물의 수송, 공문서의 전달하는 목적으로 이동하는 관리들에게 숙박처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련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영암읍지(靈巖邑誌)』 등에서 확인된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내용]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역원 조에 의하면, 영암군에는 보현원(普賢院), 수원(燧院), 청풍원(淸風院) 세 곳에 원이 있었다. 수원은 영암군의 북쪽 9.82㎞[25리]에 있다고 하였다. 지금 신북면 부선 마을의 부선장[구 장터] 인근에 해당한다. 수원의 수(燧)는 부싯돌을 의미하며, 각종 지리지에서 언급한 방향과 거리도 일치한다. 조선 시대 이곳은 영암에서 올라와서 반남~사포~무안 방향과 나주 방향으로 갈라지는 삼거리 길목에 해당한다.
[변천]
수원은 조선 전기에서 후기까지 계속 존재하는 영암 지역의 유일한 원이다. 조선 초에 영암에서 나주 가는 역로가 바뀌게 되면서 필요성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즉 고려 시대 해남, 강진, 영암에서 나주를 가기 위해서는 영원재[보현원]를 넘어 오림역을 거치는 것이 역로였지만, 조선 초기가 되면, 나주시 왕곡면 신원등에 신안역이 신설되었다. 따라서 역로가 변동되어 덕진교를 건너 수원과 신안역을 거쳐 나주에 들어갔다. 더불어 덕진면의 영보역도 영암읍의 역리 마을로 이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