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498
한자 榮州可興里岩刻畵
영어공식명칭 Petroglyphs in Gaheung-ri, Yeongju
이칭/별칭 영주 가흥동 암각화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264-2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강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영주가흥리암각화 발견
문화재 지정 일시 1990년 8월 7일연표보기 - 영주가흥리암각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8호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8년 12월 22일 - 영주가흥리암각화 도지정문화재 보호구역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8월 17일 - 영주가흥리암각화 도지정문화재 보호구역 변경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영주가흥리암각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영주가흥리암각화 -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264-2 지도보기
성격 바위그림
크기(높이,길이,둘레) 높이 1~1.5m|너비 4.5m
면적 3,612㎡=235.2㎡[문화재]+3,376.8㎡[보호구역]
관리자 영주시
문화재 지정 번호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바위그림.

[개설]

영주가흥리암각화(榮州可興里岩刻畵)내성천의 지류인 서천 변에 나지막하게 솟은 독립 구릉의 아래쪽 작은 바위 절벽에 새겨져 있는 바위그림이다. 영주가흥리암각화는 1989년 5월 발견되었다.

[건립 경위]

영주가흥리암각화는 한반도에서 발견되고 있는 일반적인 청동기시대 암각화처럼 풍요와 생산을 기원하던 주술행위의 결과물로 추정된다.

[위치]

서천 변에 돌출해 있는 별봉[일명 부처당바위]의 동쪽 사면 끝자락에 있는 수직의 자연 암벽 하단에 새겨져 있다. 별봉에는 보물 제221호인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이 조성되어 있다. 영주가흥리암각화 앞쪽에는 국도제28호선이 지나가고 있는데, 이 도로 자체가 제방에 해당하며 그 너머에는 서천이 흐르고 있다. 따라서 제방이 축조되기 전에는 암면 바로 앞까지 물이 들어왔거나 그 앞 전체가 넓은 하천의 범람원 또는 하천변에 있는 저습지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형태]

영주가흥리암각화가 새겨져 있는 암벽은 표면이 거친 화강암으로 아래위 두 층으로 이루어졌다. 아래층은 높이 201㎝, 너비 570㎝이고, 위층은 높이 181㎝, 너비 500㎝로서 아래위 바위면 사이의 계단 너비는 약 120㎝이다. 아래층 바윗면은 자연 균열로 인해 다시 2단을 이루고 있으며, 영주가흥리암각화는 이 중 상단에 위치한다. 영주가흥리암각화가 새겨진 바위의 크기는 높이 1~1.5m, 너비 4.5m 정도이며, 주로 갈아 파기로 되어 있으나 쪼아 파기의 흔적도 보인다.

영주가흥리암각화는 가로로 긴 수직 암면에 11개 정도가 새겨져 있는데, 형태가 거의 같다. 양 측면과 상하 둘레가 모두 강하게 만곡하고 내부는 3~5개의 가로줄로 구획되어 있으며, 이러한 문양이 단독 또는 여러 개를 연결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에 바위 구멍이나 외곽에 깃털 모양 선이 없는 것이 고령군 대가야읍 장기리, 포항시 북구 칠포리, 영천시 청통면 보성리 등지의 바위그림과 구별된다. 이처럼 상하좌우의 윤곽선이 모두 만곡한 것은 경주시 석장동 암각화에서도 일부 보인다.

[현황]

영주가흥리암각화는 1990년 8월 7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8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영주가흥리암각화의 형태는 고령 장기리 기하무늬 바위그림의 변이형으로 동일 유형의 바위그림 중에는 가장 단순하여 점차 도식화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하무늬에 대해 석검 손잡이[검파형], 방패모양[방패형], 신의 얼굴[신상], 사람의 얼굴[인면]로 해석되기도 하며, 태양신의 얼굴 또는 사람의 얼굴과 태양이 합친 형태로 보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