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분당구 수내동 지역 - 인접 마을 정자2동 개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0168
한자 盆唐區藪內洞地域-隣接-亭子-洞槪觀
지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2동

정자동성남시 분당구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탄천이 동의 서쪽을 남출북류(南出北流 : 남쪽에서 나와 북쪽으로 흐름)하고 있다. 불곡산의 북서쪽 기슭에 해당되며 분당신도시 개발로 인하여 기존의 정자동 행정구역에서 불정동, 신기동 등이 새로 생겨나면서 면적이 크게 축소되었다. 동의 북쪽은 백현로에 의하여 수내동내정동과, 동의 남쪽은 정자로에 의하여 불정동과, 동의 서쪽은 내정로에 의하여 신기동과 구분되고 있다.

[동의 유래]

'정자동'이란 이름은 이 지역이 조선 중기 이후 왕족인 전주이씨의 세거지가 되면서 그로 인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곧 조선 제 9대 임금 성종의 아들(12남) 무산군(茂山君)의 제5자인 태안군(泰安君) 이팽수(李彭壽)[1490~1525]의 묘역과 그 자손들이 터를 잡았으며, 태안군의 증손이 되는 이경인(李敬仁)[1575~1642]이 이곳에 낙향하여 터를 잡았다.

이경인은 자를 극보(克甫), 호를 정촌(亭村)이라 하였고,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원종공신이 되고, 함흥판관, 안산현감, 이천도호부사에 제수되었다.

그는 병자호란의 치욕을 부끄럽게 여겨 벼슬을 내놓고 이곳 탄천변에 내려와 정자를 짓고 한운야학(閑雲野鶴 : 한가한 생활을 영위함)으로 소일하였다. 그 후 그가 즐기던 '정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마을 이름이 '정자리'가 되었고, 그의 호 '정촌'도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정자는 옛사람들이 자연에 귀의하여 맑고 깨끗한 산천에 심신을 씻어내는 한편, 혼탁한 세상으로부터 떠나 있고자 하는 마음의 발로에서 비롯된 것이다. 정자는 산이 수려하고 물이 맑으며 전망이 탁 트인 곳에 짓는 것이 상례로 옛 사람들이 자연에 동화되고, 자연과 더불어 삶을 같이 하려고 하였던 정신의 표현이다. 그러므로 절벽 위, 강가, 산봉우리 등 어디에 존재하건 인공구조물인 정자(건물)가 자연과 하나가 되어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정자의 멋과 풍류가 살아 숨쉬는 곳이다.

이규보(李奎報)는 그의 『사륜정기』에서 '사방이 툭 트이고, 텅 비고, 높다랗게 만든 것'이라고 하였지만 『후한서』에는 '여행길에 숙식시설이 있고, 관리가 백성의 시비를 가리는 곳' 이라고도 한 것을 보면 '정자'의 의미가 옛날의 '주막집 정', '역말 정', '기를 정', '머무를 정', '우뚝 솟을 정'에서 오늘날의 그냥 '정자 정(亭)'으로 통용되어온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