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500428 |
---|---|
한자 | 稷山邑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윤종일 |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속하는 법정읍.
[개설]
직산은 중부 내륙과 서해를 잇는 교통과 물류의 요충지이다. 수도권과 인접하여 국제 과학 비즈니스 벨트 후보 선정 작업 시 최고 점수를 받아 국제 과학 비즈니스 벨트 기능 지구로 선정되었다.
[명칭 유래]
백제에 첫 도읍지인 위례성이 있었던 곳이며, 고구려 때에 사산현(蛇山縣)이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백성(百城)[안성]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해 성인(聖人)이 사는 도솔천(兜率天) 땅이라 하여 직산(稷山)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직산군의 동변면 전부와 서변면 전부와 일서면 전부를 합하여 성산(城山)의 명칭을 따서 1914년 성산면(城山面)으로 하였다가 1917년에 직산면(稷山面)으로 바꾸었다.
[형성 및 변천]
1899년 이전 직산현은 10개 면 124개 리였으며, 1906년 9월 24일 지방 구역 정리 때 월경지(越境地)로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망해산(望海山) 봉수대(烽燧臺), 경양포(慶陽浦), 안중읍(安仲邑) 황산리 직산 장터와 사창(社倉), 포승읍(浦升邑)의 외야곶면 염전(鹽田), 언리면(堰里面)을 수원과 평택에 병합시켰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충청남도 천안군 성산면으로 개설되었다가, 1917년 천안군 직산면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3년에는 천안읍이 환성면과 함께 천안시로 승격되고 나머지 지역이 천원군이 될 때 천원군 직산면이 되었고, 1991년 1월 1일 천원군이 천안군으로 명칭을 변경함에 따라 다시 천안군 직산면이 되었다. 1995년 5월 10일 천안시와 천안군의 통합에 의하여 천안시 직산면이 되었으며, 1995년 직산면의 읍 승격에 따라 천안시 직산읍이 되었다. 2008년 6월 23일 행정구 설치에 따라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이 되었다.
[자연 환경]
백두 대간 금북 정맥이 지나며 조산(祖山) 성거산(聖居山)~문암산[문수봉(文殊峯)]~영인 지맥(靈仁支脈)~접티[接峙]에서 북으로 성거읍 문성(文城)~옥녀봉(玉女峯)~성산[사산성]의 용안치(龍鞍峙) 능선이 병풍처럼 막아 한천, 입장천, 청룡천, 성환천, 안성천과 소사벌, 홍경 평야가 넓게 펼쳐졌다. 동남쪽으로 위례산, 성거산과 왕자산, 흑성산을 바라보며 지형이 나지막한 구릉과 평야가 많고, 서쪽으로 미륵산(彌勒山), 용와산(龍臥山), 용암산(龍岩山), 대마산(大馬山)이 아산만에 인접하여 어염(魚鹽)의 이익이 많고, 풍수해(風水害)의 피해가 적다.
또한 소사벌과 안성천 상류 군동리, 판정리, 남산리, 수헐리, 상덕리, 부송리 하천에서 사금이 많이 채취되어 일제 강점기 때 전국 제일의 사금광(沙金鑛)을 이루었다.
1905년 경부선 철도, 일제 강점기 때 삼남 대로 국도 1호선[성환읍 매주리]을 신설할 때에도 성산 용안치 능선을 피해서 도로를 냈는데, 1970년대 경부 고속 도로 공사 때 용안치 능선의 용머리[龍頭][입장면 용정리 불그머리]와 1980~1990년대 국도 1호선[시름새~남서울 대학교], 국도 34호선[단고개] 공사 때 용안치 능선 용의 허리 지역이 일부 훼손되어 주민들이 안타까워하고 있다.
[현황]
직산읍은 면적 30.52㎢이며, 2016년 6월 30일 현재 9,121세대에 21,270명[남자 11,403명, 여자 9,867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군동리(郡東里), 군서리(郡西里), 남산리(南山里), 판정리(板井里), 수헐리(愁歇里), 상덕리(上德里), 삼은리(三隱里), 부송리(富松里), 모시리(毛枾里), 양당리(良堂里), 신갈리(新葛里), 자은가리(自隱加里), 마정리(馬井里), 석곡리(石谷里)의 14개 법정리와 54개 행정리, 125개 반이 있다.
천안시 북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입장면 용정리·성거읍 삼곡리·정촌리, 남쪽으로 성거읍 문덕리·소우리·신월리·서북구 신당동·업성동·차암동,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산동리, 서쪽으로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의식리·쌍암리·월랑리, 북쪽으로 성환읍 율금리·매주리·성월리·학정리·입장면 흑암리와 경계를 이룬다.
특산물은 거봉 포도와 신고 배가 있으며, 벼를 많이 경작하며 목축업이 주를 이룬다. 충남 테크노 파크 영상 미디어 센터가 삼은리에 있으며, 남산리에 국제 과학 비즈니스 벨트 기능 지구, 부송 산업 단지, 마정 산업 단지, 천안 제4 산업 단지가 자리하여 산업화, 도시화로 급속히 발전하는 대한민국의 경제의 요충지이다.
직산은 고대에서 현대까지 교통과 물류의 요충지로서 대한민국 물류 운송의 대동맥인 경부 고속 도로, 국도 1호선, 국도 34호선,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수도권 전철 직산역이 있어 수도권, 서울과의 접근성이 매우 편리하다.
교육 기관은 직산 초등학교, 삼은 초등학교, 양당 초등학교가 있고, 직산읍사무소, 직산 파출소, 직산 농업 협동조합, 직산 우체국 등이 있다.
2009년 8월11일 직산읍 각계각층의 논의를 거쳐 직산의 역사와 아름다운 경치 ‘직산 12경’을 선정하여 직산읍사무소 앞마당에 전시 홍보하고 있다.
진산 12경은 다음과 같다.
제2경 : 남산 바위[휴류암, 부엉이 바위]
제3경 : 직산현 관아
제4경 : 일서면의 배꽃
제5경 : 미륵산[용와산성] 충장사(忠壯祠)
제6경 : 양당호(良堂湖)의 전경
제7경 : 도영지(倒影池)
제8경 : 거봉 포도
제9경 : 직산 향교
제10경 : 직산의 황금 들녘
제11경 : 백제 개국 공신 조성(趙成)의 유적
제12경 : 제원루(濟源樓) 노송(老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