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700564 |
---|---|
한자 | 晉陽河氏 |
이칭/별칭 | 진주하씨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윤윤희 |
입향조 몰년 시기/일시 | 1425년(세종 7) - 하왕 사망 |
---|---|
입향 시기/일시 | 1400년대 전후 - 하왕 생몰년으로 추정 |
본관 | 진양하씨 - 경상남도 진주시 |
입향지 | 진양하씨 입향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 |
세거|집성지 | 진양하씨 세거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 |누리리 |
묘소|세장지 | 진양하씨 묘소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수산리 산109-2 |
성씨 시조 | 하진 |
입향 시조 | 하왕 |
[정의]
하진을 시조로 하고 하왕을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하진(河珍)을 시조로 하고 하왕(河瀇)[?~1425]을 입향조로 하는 진양하씨는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연기리와 누리리에 입향한 이래 600여 년 동안을 살아오고 있다.
[연원]
진양하씨는 삼한시대부터 있었던 성씨라 하나 확실한 연원은 알 수 없다. 고려시대에 와서 하공진(河拱辰)을 시조로 하는 시랑공파(侍郎公派), 하진을 시조로 하는 사직공파(司直公派), 하성(河成)을 시조로 하는 단계공파(丹溪公派)로 분파되었다. 이후 충렬왕 때 하즙(河楫)은 선대가 진양대도호부(晉陽大都護府)에 세거하여 왔으므로 본관(本貫)을 진양이라 삼았다 한다.
[입향 경위]
연기면 연기리 진양하씨 사직공파 입향조는 하왕으로 병조판서(兵曹判書)를 지냈다. 하왕의 아버지 하자종(河自宗)[1350~1433]이 청주목사(淸州牧使)로 부임하게 되어 하왕이 이웃한 경치 좋은 연기리와 인연을 맺게 된 것으로 보인다. 후손으로는 목천현감(木川縣監)을 지낸 하왕의 아들 하정수(河程秀), 봉산군수(鳳山郡守)를 지낸 하정발(河程拔)과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하옥(河沃) 등이 있다.
[현황]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연기 지역의 진양하씨는 토성(土城)으로 기록되어 있다. 진양하씨는 연기면 연기리에 1970년대 10가구, 2019년 5월 4가구가 거주한 것으로 확인된다.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연기군의 진양하씨는 2000년에는 15가구 52명, 세종특별자치시의 진양하씨는 2015년에는 136명인 것으로 확인된다.
[관련 유적]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남면 월산리[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누리리]에 있던 진양하씨의 묘역과 종산(宗山)이 편입되어 연기면 수산리 산109-2번지로 옮겨 조성되었고 매년 음력 9월 9일에 시향(時享)을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