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흥성장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585
한자 興城張氏
이칭/별칭 흥덕장씨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임선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입향지 흥덕장씨 입향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흥덕장씨 집성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 지도보기
묘소|세장지 장경지 묘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 지도보기
성씨 시조 장유
입향 시조 장경지

[정의]

장유를 시조로 하고 장경지를 입향조로 하는 세종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세종특별자치시의 흥성장씨는 흥덕장씨라고도 불리며, 감사공파의 장경지가 15세기 초에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에 입향하였다. 와촌리의 번암동은 한때 ‘장씨촌’이라고 불릴 정도로 흥성장씨들이 집성촌을 이루었다. 후손들이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도 거주하고 있다.

[연원]

흥성장씨(興城張氏)의 시조(始祖) 장유(張儒)는 후백제 영주(瀛州) 상질현(尙質縣) 출신으로 고려시대에 광평시랑(廣評侍郞)을 지내었다. 장유는 후삼국 시대 난을 피하여 오월(吳越)로 피난 갔다가 중국어를 배워 고려 태조가 삼국을 통일한 뒤에 환국(還國)[귀국]하여 광종 때 예빈성(禮賓省)에 있으면서 중국 사신을 접대하는 일을 전담하였다. 장유의 아들 장연우(張延祐)는 고려 현종 때 거란군이 침입하여 오자 왕을 호종(鳸從)[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여 따르는 일]하였고, 중추원사(中樞院事)와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역임하였다.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에 추증(追贈)[종2품 이상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에게 벼슬을 주던 일]되었다. 장연우의 6세손 장기(張機)가 흥산군(興山君)에 봉하여졌다. 시조(始祖) 장유가 성장한 상질현이 뒤에 장덕현(章德縣)[또는 창덕(昌德)]으로 바뀌었다가 1298년(충선왕 1) 왕의 이름[장(璋)]과 음이 같다 하여 흥덕(興德)[또는 흥성(興城)]으로 바뀌었으므로 흥덕[또는 흥성]을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 오고 있다.

[입향 경위]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촌리에 거주하는 흥성장씨는 가선대부 행 전라도관찰사를 지낸 장윤화(張允和)[1367~1422]를 파조로 하는 감사공파(監司公派)이다. 입향조는 파조 장윤화의 아들인 장경지(張敬止)[1394~?]로 어머니는 함안윤씨(咸安尹氏)이며, 부인은 군기시소감(軍器寺小監) 김우(金禹)의 딸인 강릉김씨(江陵金氏)이다. 장경지는 계공랑(啓功郞) 종부시직장(宗簿寺直長) 겸 상서녹사(尙書錄事)를 지내었다.

장경지가 번암터(磻岩洞)에 터를 잡아 정착한 이후 ‘장씨촌’이라 불릴 정도로 흥성장씨가 집성촌을 이루게 되었으나, 흥성장씨가 어떠한 연유로 세종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장윤화의 부인이 강릉김씨이며, 연서면 쌍류리강릉김씨가 거주하는 것으로 보아 혼인 관계에 의한 입향으로 보고 있다.

[현황]

후대의 흥성장씨 인물로는 통훈대부 예산현감을 지낸 장승중(張承重)이 알려져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노송리에 거주하는 흥성장씨도 15세기 초에 입향한 흥성장씨 감사공파의 후손으로 19세기 중엽에 노송리로 이거(移居)하였다.

[관련 유적]

장경지 묘소는 연서면 와촌리 대실 앞 선산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