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688 |
---|---|
한자 | 李長庚 |
영어공식명칭 | I Janggyeong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왕족·호족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김명진 |
출생지 | 이장경 출생지 - 경상북도 성주군 |
---|---|
묘소|단소 | 이장경 묘소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화리 |
사당|배향지 | 봉산재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
성격 | 향리 |
성별 | 남 |
본관 | 성주 |
[정의]
고려 후기 성주 지역의 향리.
[개설]
이장경(李長庚)은 성주 지역 향리(鄕吏)로서 성주 이씨(星州李氏)의 중흥조(中興祖)라 할 수 있다. 아들인 문열공(文烈公) 이조년(李兆年)이 과거에 급제하고 중앙 정치에서 크게 명성을 얻으며 고려 후기 명문가가 되었다. 당시 지방 향리 집안이 실력으로 최고 명문가가 될 수도 있었던 사례 중 하나이다.
[가계]
본관은 성주(星州). 시조 이순유(李純由)의 12세손이다. 성주 이씨는 일반적인 사료에는 시조 이래의 문중 내력을 알 수 있는 내용들이 보이지 않다가 이장경과 아들 대부터 본격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장경의 아들 중에 이조년이 있었고, 「이조년 묘지명」에 선대 가계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이장경의 할아버지는 이돈문(李敦文)이고, 아버지는 이득희(李得禧)이다. 아들 중 첫째는 이백년(李百年), 둘째는 이천년(李千年), 셋째는 이만년(李萬年), 넷째는 이억년(李億年), 다섯째는 이조년이다. 이장경의 집안이 백년, 천년, 만년, 억년, 조년에 이르도록 영속하기 바라는 마음을 담은 이름이다.
『고려사(高麗史)』 이조년 전기에 이조년의 아우로 이연경(李延慶)이라는 인물이 등장하지만, 이장경의 아들이 아닌 손자일 가능성도 있다. 이장경의 손자 중에 돌림자로 보여지는 이승경(李承慶)이라는 인물이 있기 때문에 손자를 아들로 잘못 기록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장경의 증손자, 즉 이조년의 손자는 시중을 지낸 이인복(李仁復)과 이인임(李仁任)이다.
[활동 사항]
이장경의 정확한 생몰 및 활동 연도는 알 수 없다. 그러나 1269년(원종 10)에 태어나 1343년(충혜왕 복위 4)에 사망한 다섯째 아들인 이조년의 생몰 연도를 통해 아버지 이장경의 생몰·활동 연도를 대략 짐작할 수 있다. 이장경의 집안은 할아버지 이돈문, 아버지 이득희 등이 대대로 경산부(京山府)[현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부리(府吏)를 지냈고, 경산부 향리를 대대로 세습하며 지역 유지로 활동하였다. 이장경은 태도가 겸손하고 검박하여 위엄이 있었고, 고을 사람들이 존경하고 두려워했다고 한다. 늙어 집에 있을 때 부관(府官)들이 나들 때에도 처세를 잘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묘소]
묘소는 처음에는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선석사(禪石寺) 입구 왼편 산기슭에 있었다가, 조선 세종 때 왕가의 장태지(藏胎地)로 정해진 대가면 옥화리 오현(梧峴)으로 옮겼다.
[상훈과 추모]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리에 이장경 신도비가 있으며, 성주읍 경산리 사골 마을 봉두산(鳳頭山)에 유허비와 봉산재(鳳山齋)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