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260 |
---|---|
한자 | 廣輿圖全州牧 |
영어공식명칭 | 『Gwangyeodo』「Jeonjumok」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한상호 |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이 포함되어 있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광여도(廣輿圖)』의 전주목(全州牧) 지도.
[개설]
『광여도』는 19세기 전반에 제작된 회화식 전국 군현지도로 각 도별 지도 및 군현별 지도, 군사 요충지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광여도』「전주목」은 현재 전라북도 전주시와 완주군 삼례읍, 봉동읍, 용진읍, 소양면, 상관면, 구이면, 이서면과 익산시 오산면, 왕궁면과 김제시 금산면, 논산시 양촌면 일부 등을 나타낸 지도로, 관청 건물과 읍면, 주요 산천과 관련 정보가 담긴 지도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광여도』는 19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전국 군현 지도집으로, 전체 구성은 『해동지도』와 유사하다.『해동지도』와 같은 회화식 지도가 민간으로 흘러들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형태]
19세기 전반에 걸쳐 제작된 전국 군현 지도집인 『광여도』의 전체 구성은 『해동지도』와 유사하다. 『광여도』에는 세계 지도, 외국 지도, 요계관방도, 조선전도 뒤로 각 도별 지도와 군현 지도들이 수록되어 있다. 경기도 1책, 충청도 2책, 전라도 3책, 경상좌도 4책, 경상우도 5책, 평안도 6책, 황해도 6책, 강원도 7책, 함경도 7책 등 총 1~7책에 걸쳐 도지도와 군현 지도, 그리고 주요 군사적 요충지의 지도들이 실려 있다. 3책 전라도편에서 전주목의 지도와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구성/내용]
『광여도』 「전주목」 지도를 보면 인근 군현으로 동으로는 진안(鎭安)과 고산(高山), 서로는 태인(泰仁)과 옥구(沃溝), 남으로는 임실(任實)과 순창(淳昌), 북으로는 익산(益山)과 은진(恩津), 연산(連山)이 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도의 중앙에는 전주목의 관아와 읍성이 위치해 있고, 읍성을 중심으로 읍면들이 위치해 있다. 구이동면, 귀신면, 남일도면, 낭산면, 동일도면, 봉상면(峯上面), 부남면(府南面), 북이도면(北二道面), 북일도면(北一道面), 사포면(四浦面), 상관면(上官面), 서일도면(西一道面), 소양면(所陽面), 양양소면(陽良所面), 양림곡면(楊林谷面), 오백조면(五百條面), 완전면(薍田面), 용진면(龍進面), 우동면(紆東面), 우서면(紆西面), 이남면(伊南面), 이동면(利東面), 이동면(伊東面), 이북면(伊北面), 이북면(利北面), 이서면(伊西面), 조촌면(助村面), 초곡면(草谷面) 등이 있다. 주요 산과 고개로는 가련산, 건지산, 고달산, 곤지산, 다가산, 대둔산, 모악산(母岳山), 발산(鉢山), 정각산(淨角山), 천둔산(千芚山), 귀신치, 기린봉, 대화치, 오도치(五道峙), 웅치(熊峙)가 있다. 또한 창고로는 동지산창(東之山倉), 봉산창(峯山倉), 옥야창(沃野倉), 우주창(紆州倉), 이성창(利城倉)이 있으며, 서원으로는 서산서원(西山書院), 인봉서원(麟峯書院), 학봉서원(鶴峯書院) 등이 보인다. 주요 건물로는 읍성내 객사와 객사, 관풍각, 만화루(萬化樓), 선화당(宣化堂), 응청각(凝淸閣), 중군청(中軍廳), 한벽정(寒碧亭), 현도관(玄都觀), 희현당(希顯堂) 등이 있으며, 유적 및 명승지로는 가락대(嘉樂臺), 만경대(萬景臺), 비비대(飛飛臺), 성황대(城隍臺), 억경대(億景臺), 오목대(吳穆臺), 이목대(李穆臺), 천경대(千景臺) 등이 보인다. 한편 지도의 다른 면에는 전주목의 호구, 군사의 수, 전답의 결수, 각 읍면의 거리 등을 기록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광여도』는 지도의 형식면에서 볼 때 지도와 설명문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지도와 별도로 쓴 설명문에는 호구, 전결, 군질 등 군현의 사회경제적 사정을 알려주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항목들로부터 조선 후기 「전주목(全州牧)」에 포함된 완주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