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나주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0450
한자 羅州牧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이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983년연표보기 - 나주목 제정
개정 시기/일시 1645년연표보기 - 금성현으로 강등
개정 시기/일시 1654년연표보기 - 나주목으로 다시 승격
개정 시기/일시 1895년 - 지방 제도 개편으로 나주군으로 개편
개정 시기/일시 1986년 - 나주시로 승격

[정의]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지금의 전라남도 영암군이 속했던 행정 구역.

[개설]

나주목은 983년(성종 2) 전국에 설치된 12개의 목(牧) 중 하나이다. 1018년(현종 9)에 지방 제도를 완비하면서 12목을 8목으로 조정할 때에도 주목(主牧)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영암군은 나주목의 영군(領郡)이었다. 영암은 지방 제도가 재정비되던 성종 때에 낭주 안남 도호부(郎州安南都護府)로 승격되었으나 현종의 지방 제도 개편에 따라 전주로 옮겨졌다가 4년 뒤에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영암은 지군사(知郡事)가 파견되는 영암군이 되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고려 성종 때 중앙 집권화 정책의 일환으로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자 최승로(崔承老)의 건의를 수용하여 12목을 설치하고 외관을 파견하였다. 그중의 하나가 나주목이었다.

[관련 기록]

『고려사(高麗史)』에는 나주목이 “속군이 5개, 속현이 11개이며, 관할하는 지사부(知事府)가 1개, 군(郡)이 4개, 현령관이 4개이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그중의 하나인 영암에 대하여 “성종 14년에 낭주 안남 도호부로 고쳤다. 현종 9년에 다시 영암군으로 강등시켰다. 월출산이 있다.”라고 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나주목이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남평(南平)까지 5리, 서쪽으로 무안(務安)까지 27리, 남쪽으로 영암까지 32리, 북쪽으로 함평(咸平)까지 32리 떨어져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관할은 군이 셋이니, 해진(海珍)[지금의 해남군], 영암, 영광이다.”라고 하였다.

[내용]

고려 시대에 전국에 설치된 12목은 양주(楊州)·광주(廣州)·충주(忠州)·청주(淸州)·공주(公州)·진주(晋州)·상주(尙州)·전주(全州)·나주(羅州)·승주(昇州)·해주(海州)·황주(黃州)로, 이곳에는 목사가 파견되었다.

나주목은 장흥부[속현 4개], 영광군[속군 2개, 속현 8개], 영암군[속군 2개, 속현 3개], 보성군[속현 7개], 승평군(昇平郡)[속현 4개], 해양현(海陽縣), 진도현[속현 2개], 능성현(陵城縣), 탐라현(耽羅縣)으로 편제되어 있었다. 영암군은 나주목의 영군(領郡)에 속했다.

영암군 아래에는 2개의 속군과 3개의 속현이 있었다. 속군은 황원(黃原)[지금의 해남군 화원면], 도강(道康)[지금의 강진군]이고, 속현은 곤미(昆湄)[지금의 영암군 미암면], 해남(海南)[지금의 해남군 현산면], 죽산(竹山)[지금의 해남군 마산면] 등 이었다. 이렇듯 고려 시대의 영암은 현재의 영암·해남·강진을 묶는 커다란 세력권을 형성하면서 호남 서남부의 행정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변천]

나주목은 고려 성종 때 설치된 이래 조선 시대에 들어오기까지 호남의 주목으로서 속군과 속현을 지휘하고 감독하는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조선 시대에 들어오면서 나주목은 여러 차례의 우여곡절을 겪게 된다. 1645년(인조 23)에 금성현(錦城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654년(효종 5)에 나주목으로 다시 올랐으나, 이듬해인 1655년(효종 6)에 다시 금성현으로 강등되었고 1664년(현종 5)에 가서야 다시 나주목으로 승격되었다.

그 후 다시 나주는 그 호가 강등되었다가 1738년(영조 14)에 나주목이 되어 1895년(고종 32)까지 계속되었다. 1895년 지방 제도 개편으로 나주군이 되면서 나주관찰부(羅州觀察部)가 설치되었다. 그 후 여러 차례의 개편을 통해 1986년에 나주시가 되었다.

영암군은 큰 변동 없이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나주목에 속해 있었다. 1895년 행정 제도 개편 이후에 완도·나주·해남 등지의 지역과 병합하면서 1읍 10면이 되었고, 2013년 현재는 2읍 9면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