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695 |
---|---|
한자 | 白見龍 |
영어공식명칭 | Baek Hyeonryong |
이칭/별칭 | 문서(文瑞),성헌(惺軒)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이광우 |
출생 시기/일시 | 1543년 - 백현룡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백현룡 임진왜란 창의 |
활동 시기/일시 | 1597년 - 백현룡 화왕산성 방어 |
활동 시기/일시 | 1609년 - 백현룡 생원시 입격 |
몰년 시기/일시 | 1622년 - 백현룡 사망 |
출생지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
거주|이주지 | 남승정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 |
묘소|단소 | 우현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가산리 |
사당|배향지 | 운산서원 -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 944 |
성격 | 학자 |
성별 | 남 |
본관 | 대흥 |
대표 관직|경력 | 생원 |
[정의]
조선 후기 영덕 출신의 학자.
[개설]
백현룡(白見龍)[1543~1622]은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생원시에 입격했으며 문집으로 『성헌일집(惺軒逸集)』이 전한다.
[가계]
백현룡의 본관은 대흥(大興), 자는 문서(文瑞), 호는 성헌(惺軒)이다.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백문보(白文寶)의 8대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副司直)을 지낸 백구년(白龜年), 할아버지는 연일훈도(延日訓導)를 지낸 백여완(白汝琬), 아버지는 진사(進士) 백미량(白眉良), 어머니는 참봉(參奉)을 지낸 문은(文誾)의 딸 강성문씨(江城文氏), 부인은 사과(司果)를 지낸 정창국(鄭昌國)의 딸 야성정씨(野城鄭氏)이다. 아들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백중립(白中立)이다.
[활동 사항]
백현룡은 1543년(중종 38) 경상도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 인량리(仁良里)[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서 태어났다. 김언기(金彦璣)로부터 학문을 배웠으며, 이후 이황의 문인이 되어 『대학(大學)』, 『근사록(近思錄)』, 『심경(心經)』 등을 공부하였다. 또한, 조목(趙穆)·김극일(金克一)·김성일(金誠一)·유운룡(柳雲龍)·유성룡(柳成龍)·금난수(琴蘭秀)·이덕홍(李德弘)·권호문(權好文)·남치리(南致利) 등의 퇴계학맥 동문과 교유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에서 이함(李涵)·백인국(白仁國)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김해(金垓)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는 아들 백중립과 함께 곽재우(郭再祐)를 도와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지켰다.
1609년(광해군 1) 생원시에 입격하였으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평소 산수(山水)를 좋아하여 영해도호부 북쪽 황죽리(黃竹里) 운산(雲山)[지금의 영덕군 병곡면 원황리] 아래에 집승정(集勝亭)을 짓고 소요하였다. 훗날 이웃 평해(平海)로 귀양 온 이산해(李山海)가 이황이 집승정을 차운한 시 「차집승정운(次集勝亭韻)」의 구절 중 “빼어남을 이끄는 높은 정자 좋은 이름을 천단하여[攬秀高亭擅勝名]”에서 ‘남(攬)’ 자를 취해, 편액을 ‘남승정(攬勝亭)’으로 고쳤다.
[학문과 저술]
문집으로 1906년 후손들이 간행한 3권 1책의 『성헌일집』이 전한다. 본문은 시(詩)·서(書)·제문(祭文)·행장(行狀)·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묘소]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가산리 우현(愚峴)에 묘소가 있다. 이광정(李光庭)이 묘지명을 지었다.
[상훈과 추모]
1812년(순조 12) 지방 유림이 백문보·백현룡의 학문을 기리기 위해 남승정 터에 운산서원(雲山書院)을 건립하였다. 운산서원은 1868년(고종 5)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 1899년(광무 3) 서당으로 복설하였는데, 현재 서당 건물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영덕운산서원강당]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