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400698 |
---|---|
한자 | 權昌震 |
영어공식명칭 | Gwon Chang-jin |
이칭/별칭 | 동언(東彦),아맹(亞盲)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광우 |
출생 시기/일시 | 1597년 - 권창진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624년 - 이괄의 난 창의 |
활동 시기/일시 | 1635년 - 권창진 진사시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36년 - 병자호란 창의 |
활동 시기/일시 | 1677년 - 권창진 수직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683년 - 권창진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813년 - 권창진 구호서원 추향 |
출생지 | 권창진 출생지 -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 |
묘소|단소 | 권창진 묘소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성곡리 |
사당|배향지 | 구호서원 -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 |
사당|배향지 | 안동권씨재사 -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성곡리 365 |
성격 | 학자 |
성별 | 남 |
본관 | 안동(安東) |
대표 관직|경력 | 진사 |
[정의]
조선 후기 영주 출신의 학자.
[개설]
권창진(權昌震)[1597~1683]은 1635년(인조 13)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고향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가계]
권창진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동언(東彦), 호는 아맹(亞盲)이다. 아버지는 호군을 지낸 권덕영(權德榮), 어머니는 첨정을 지낸 남계홍(南繼洪)의 딸 숙부인 영양남씨(英陽南氏), 할아버지는 진사 권계옥(權啓玉), 증조할아버지는 훈도를 지낸 권봉년(權鳳年)이다. 부인은 이성(李珹)의 딸 증 숙부인 공주이씨(公州李氏)이다.
[활동 사항]
권창진은 1597년(선조 30) 경상도 영천군(榮川郡) 봉향리(奉香里)[지금의 영주시 휴천동]에서 출생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박성범(朴成範)·박회무(朴檜茂)[1575~1666]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나, 이괄의 난이 진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모은 쌀과 포목을 체찰영에 보낸 뒤 해산하였다.
권창진은 1635년(인조 13) 진사시에 급제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고향에서 의병을 일으켜 죽령을 넘어 청풍에 이르렀을 때, 인조가 청나라에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통곡한 뒤 돌아왔다. 고향으로 돌아온 권창진은 스스로 호를 ‘아맹(啞盲)’이라 하였다. ‘아맹’이라는 호는 벙어리와 같이 세상일을 말하지 않고, 소경처럼 하늘을 보지 않은 채 은둔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권창진은 1649년(인조 27) 아버지 권덕영이 세상을 떠나자, 많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예제(禮制)에 따라 정성껏 상을 치렀다. 김응조(金應祖)[1587~1667]와 이상언(李尙彦)[1597~1671]이 학문과 행실로써 권창진을 조정에 천거하였다. 1677년(숙종 3) 수직(壽職)을 받아 품계가 통정대부에 올랐다.
[학문과 저술]
권창진의 문집으로 2권 1책의 『아맹일고(啞盲逸稿)』가 전한다.
[묘소]
권창진의 묘소는 영주시 장수면 성곡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권창진은 공조참의에 증직되었다. 1813년(순조 13) 지역 사림의 공의로 권두문(權斗文)[1543~1617]·김대현(金大賢)[1553~1602]·김봉조(金奉祖)[1572~1630] 등과 함께 구호서원(鷗湖書院)[영주시 영주동]에 추향되었다. 구호서원은 1780년(정조 4) 권정(權定)을 제향하기 위하여 건립한 서원인데,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된 후 지금까지 복설되지 않았다. 한편, 구성공원 내에 있는 대은정(大隱亭)은 후손들이 권창진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누정으로 1961년 현재 위치로 이건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