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1291
한자 丹谷集
영어공식명칭 Dangokjip(Literary Work)
이칭/별칭 단곡문집,단곡선생문집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786년연표보기 - 『단곡집』 간행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시문집
저자 곽진
간행자 곽사림
권책 6권 3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반곽: 세로 18.3㎝, 가로 14.6㎝|광곽: 세로 30.5㎝, 가로 19.4㎝
어미 내향이엽화문어미
권수제 단곡선생문집
판심제 단곡선생문집

[정의]

1786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영주 출신 학자인 곽진의 시문집.

[개설]

『단곡집(丹谷集)』곽진(郭𡺽)[1568~1633]의 시문집으로 1786년(정조 10)에 간행되었다. 문집 끝에는 아들 곽영(郭瓔)의 시문집인 『우주암집(宇宙菴集)』이 첨부되어 있다.

[저자]

곽진의 자는 정보(靜甫), 호는 단곡(丹谷), 본관은 현풍(玄風)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601년(선조 34)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학행으로 천거되어 1605년 광릉참봉으로 임명되었지만, 곧 고향으로 돌아와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1775년(영조 51)에 정범조(丁範祖)로부터 문집 서문을 받은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편집이 완료된 것으로 보이나, 바로 간행하지는 못하였다. 1786년에 이르러서야 곽진의 6세손 곽사림(郭師林)이 지역 사림들의 도움을 얻어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단곡집』은 6권 3책의 목판본으로, 표제는 ‘단곡집’이며, 판심제와 권수제는 ‘단곡선생문집’이다. 반곽의 크기는 세로 18.3㎝, 세로 14.6㎝이며, 광곽 크기는 세로 30.5㎝, 가로 19.4㎝이다. 10행 20자에 유계(有界)이며, 어미는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구성/내용]

『단곡집』 권1~2에는 부 2편, 오언절구 16수, 칠언절구 67수, 오언사운 38수, 칠언사운 75수, 오언고시 7수, 삼오칠언 2수 등이 실려 있다. 권3에는 칠언고시 7수, 칠언장단구 4수, 칠언배율 2수, 사 2편, 소 2편, 서(書) 17편 등이 있다. 권4에는 서(序) 3편, 기 9편, 발 4편, 명 4편, 축문 2편, 제문 6편 등이, 권5에는 묘갈명 4편, 묘지명 4편, 잡저 9편 등이 있다. 권6에는 부록으로 김응조(金應祖)가 쓴 묘갈명, 조진양(趙普陽)이 쓴 행장, 「백고리사초향문(白皐里社初享文)」과 상향축문 등이 실려 있다.

『단곡집』에는 200수가 넘는 시가 수록되어 있는데, 대부분 처사적 풍류를 노래한 것이다. 권3에 수록된 「청주이이첨소(請誅李爾瞻疏)」는 광해군 당시 집권하고 있던 북인정권을 신랄하게 비판한 상소문이다. 「사우록(師友錄)」은 곽진이 임종 때 구수(口授)하여 엮었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단곡집』에는 처사적 풍류를 지향하던 조선시대 선비의 시문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또한 광해군 연간 남인계 선비들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4.02.26 오탈자 수정 [개설] 곽진(郭瑨) → 곽진(郭𡺽)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