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857
한자 白雲寺
이칭/별칭 숭암사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심원계곡로 259-200[성주리 49]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정성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0년 9월 20일 - 보령백운사부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9월 1일 - 보령 백운사 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9월 1일 - 「영식필산신도백운사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현 소재지 백운사 -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심원계곡로 259-200[성주리 49]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범일국사 혹은 낭혜화상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 소속 사찰.

[개설]

백운사(白雲寺)보령 성주사지(保寧 聖住寺址)에서 북동쪽으로 직선 거리 약 1.7㎞ 정도 떨어진 곳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백운사는 사찰의 전언에 의하면 통일 신라 시대 범일국사(梵日國師) 혹은 낭혜화상(朗慧和尙)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 낭혜화상의 덕을 칭송하는 글이 있는 비석이 있었다고 전해지기도 하지만 입증할 자료는 없으며, 보령 성주사지에 전해지는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保寧 聖住寺址 大朗慧和尙塔碑)성주사지에서 출토된 김립지찬 성주사비(金立之撰 聖住寺碑) 등에 관한 내용이 백운사의 이야기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건립 경위 및 변천]

보령 성주사지 북동쪽에 있는 높이 500m 산의 중턱 약 320m 정도에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높은 곳에 자리하여 흰 구름 속에 있는 절처럼 보이기에 사찰 이름을 ‘백운(白雲)’이라 하였다고 한다. 백운사 이전의 사찰 이름은 숭암사(崇巖寺)였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전소된 것을 다시 중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백운사의 중심 건물은 극락전이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이다. 극락전을 중심으로 정면에는 종무소 겸 공양간 등으로 사용하는 인법전이 있다. 극락전 향(向) 우측에는 무염당(無染堂)이 있으며, 극락전 향 좌측에는 구산선원(九山禪院)이 있다.

[관련 문화재]

백운사 소장 문화재로는 2014년 9월 1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보령 백운사 목조보살좌상(保寧 白雲寺 木造菩薩坐像)이 있다. 보령 백운사 목조보살좌상은 복장물에 포함된 조성기를 통해 1694년(숙종 20)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000년 9월 2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보령백운사부도(保寧白雲寺浮屠)가 있는데, 남쪽 산등성이를 타고 100m 정도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다. 보령백운사부도 정면에는 ‘정연당(淨蓮堂)’이라는 명문이 있어 부도의 주인공을 알 수 있다. 또한 2014년 9월 1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영식필산신도백운사본(永植筆山神圖白雲寺本)」이 있다. 「영식필산신도백운사본」은 산신도에 적혀 있는 화기(畵記)를 통해 1825년(순조 25) ‘영식’이라는 이름의 화승이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