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302921 |
---|---|
한자 | 李珥 |
영어음역 | Yi I |
이칭/별칭 | 현룡(見龍),숙헌(叔獻),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강원도 강릉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최호 |
성격 | 학자|문신 |
---|---|
아버지 | 이원수(李元秀) |
어머니 | 신사임당(申師任堂) |
형 | 이선(李璿)|이번(李璠) |
아우 | 이우(李瑀) |
아내 | 노경린(盧慶麟)의 딸 |
출신지 | 강릉 |
성별 | 남 |
생년 | 1536년(중종 31) |
몰년 | 1584년(선조 17) |
본관 | 덕수 |
제향 | 자운서원|송담서원|귀암서원|화곡서원|백록동서원 |
대표관직 | 이조판서 |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문신.
[가계]
본관은 덕수(德水). 아명은 현룡(見龍),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 이원수(李元秀)이며, 어머니는 신사임당(申師任堂)이다. 형으로 이선(李璿)과 이번(李璠)이 있고, 아우는 옥산 이우(李瑀)이다.
[생애]
외가인 강릉 북평촌(北坪村) 오죽헌에서 출생하였으며, 어려서부터 어머니로부터 학문을 배웠다. 1548년(명종 3) 13세 때 진사초시(進士初試)에 입격하였고, 1564년(명종 19)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기까지 모두 9번에 걸쳐 장원을 하여 세간에서는 이이(李珥)를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 일컬었다.
1564년 호조좌랑에 처음 임명된 뒤 예조좌랑·정언·이조좌랑·지평 등을 지냈다. 1568년(선조 1)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부교리로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다. 1571년 청주목사, 1573년 직제학을 거쳐 우부승지·대사간을 지냈으며 그 후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1581년(선조 14) 대사헌·예문관제학을 겸임하고,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양관(兩館)의 대제학을 지냈다. 이듬해 이조·형조·병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1583년 당쟁을 조장한다는 동인의 탄핵으로 사직했다가 같은 해 다시 판돈녕부사와 이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정월 49세에 서울 대사동(大寺洞)에서 영면하였다.
[활동사항]
1575년(선조 8) 무렵부터 동인과 서인의 대립 갈등이 심화되자 이를 중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1576년 중재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고, 건의한 개혁안이 선조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그만두고 경기도 파주 율곡리로 낙향하였다.
이후 한동안 관직에 부임하지 않고 본가가 있는 경기도 파주 율곡리와 처가가 있는 해주의 석담을 오가며 교화 사업에 종사하였다. 이때 아동교육서인 『격몽요결(擊蒙要訣)』을 저술하고 해주에 은병정사(隱屛精舍)를 건립하여 제자교육에 힘썼으며 향약과 사창법(司倉法)을 시행하기도 하였다.
다시 관직에 복직한 후에는 『경연일기(經筵日記)』를 완성하였고, 국왕에게 「시무육조(時務六條)」를 지어 바치는 한편 경연에서 ‘십만양병설’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선조가 이이의 개혁안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취함에 따라 그가 주장한 개혁안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학문과 사상]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영남학파와 쌍벽을 이루는 기호학파를 형성하여 이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주장하였다. 또, 성혼과 이기(理氣)·사단칠정(四端七情)·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에 대해 논쟁하기도 하였다.
정치사상으로는 당론 위주의 인사정책에 반대하고 당색에 구애되지 않고 조용(調用)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보합조제론을 주장하였다. 「동호문답(東湖問答)」·「만언봉사(萬言封事)」·『성학집요(聖學輯要)』 등을 지어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국왕에게 제시하였다. 또한 민생문제에 대해서는 대동법과 사창제의 시행을 주장하고 그의 개혁사상을 실천하는 한 방도로서 향약의 시행을 주장하였다.
[저술]
『성학집요』, 『격몽요결』, 『경연일기』, 「동호문답」, 「만언봉사」 등이 있다.
[묘소]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 산 5-1번지[자운서원 내]에 있다.
[상훈과 추모]
문성(文成)의 시호가 내려졌으며,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의 자운서원(紫雲書院),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언별리의 송담서원(松潭書院), 경기도 용인시 풍덕동의 구암서원(龜巖書院) 등 20여개 서원에 배향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이의 성리사상은 그가 제시한 개혁론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단지 이론으로서가 아니라 현실에서의 실천성을 겸비한 것이었다. 이러한 의리와 실리의 양면은 이후 의리학과 실학으로 심화되어 전개되었다. 또한 오늘날에도 현실과 이상을 조화시켜 사회 발전을 도모함에 있어서 지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