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374
한자 高麗時代
영어공식명칭 The Goryeo Dynasty period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위은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고려 초 - 여량현을 구사부곡으로 강등
특기 사항 시기/일시 고려 초 - 장산군(獐山郡)을 장산군(章山郡)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995년 - 하주에 자사 설치
특기 사항 시기/일시 1018년 - 하주를 하양현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018년 - 하양현, 장산군, 자인현, 구사부곡을 동경유수부에 내속
특기 사항 시기/일시 1308년 - 장산군(章山郡)을 경산군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317년 - 경산군을 경산현으로 승격하고 현령을 파견
특기 사항 시기/일시 1335년 - 이지은소를 이지현으로 승격
특기 사항 시기/일시 1390년 - 경산현을 경산군으로 승격하고 지군사를 파견

[정의]

918년부터 1392년까지 경상북도 경산 지역의 역사.

[개설]

고려 시대 경산 지역에 두어졌던 지방 행정 구역으로는 장산군(章山郡)[경산군(慶山郡)], 하주(河州)[하양현(河陽縣)], 자인현(慈仁縣)구사부곡(仇史部曲)·안심소(安心所)·양량촌부곡(陽良村部曲)·이지부곡(貍只部曲)·이지은소(梨旨銀所)가 있었다. 이 가운데 장산군은 지금의 경상북도 경산시 동(洞) 지역 서부와 남천면, 압량읍 북부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와 동구에 편입된 옛 경산군 고산면 지역이 해당된다. 하주는 지금의 경산시 하양읍와촌면, 진량읍 북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에 편입된 옛 안심면의 일부 지역이다. 자인현은 지금의 경산시 자인면·용성면·남산면, 압량읍 남부 지역, 경산시 동(洞) 지역 동부에 있었다. 구사부곡경산시 진량읍 북부 지역이며, 안심소는 대구광역시 동구에 편입된 옛 안심면의 일부 지역이다. 양량촌부곡과 이지부곡은 정확한 위치가 비정되지 않는데, 하양현 서쪽 지점에 있었다고 한다. 이지은소경산시 하양읍과 영천시 신녕면·청통면 경계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행정구역 변천]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는 940년(태조 23) 무렵 지방 행정 구역 개편을 실시하였다. 이 무렵 지방 행정 구역 개편은 통일 신라의 지방 행정 구역을 계승하되, 후삼국 전쟁기 호족 세력의 정치적 향방을 감안한 것이었다. 즉, 고려왕조에 대한 공과(功過)에 따라 행정구역 통폐합과 승격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757년(경덕왕 16) 지금의 경산 지역에는 장산군(獐山郡), 자인현(慈仁縣), 여량현(餘粮縣)이 있었다. 이 가운데 고려 초 가장 큰 변화를 겪은 것은 구사부곡(仇史部曲)으로 강등된 여량현이었다. 강등 이유는 알 수 없으나, 후삼국 전쟁기 이 지역 호족들의 정치적 행보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장산군(獐山郡)의 경우, 고려 초 고을 명칭이 장산군(章山郡)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고려 시대 동안 중앙 집권 강화와 지방 통제의 차원에서 여러 차례 지방제도 개편이 이루어졌다. 먼저 995년(성종 14)에는 하주(河州)에 자사(刺史)를 설치했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당시 고려 정부는 행정적 성격보다 군사적 역할을 보다 강조하여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이에 12주에는 절도사(節度使)를 파견하였고, 그 보다 작은 고을에는 도단련사(都團練使)·단련사(團練使)·자사·도호부사(都護府使)·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하주도 이 시기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되어 자사 파견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1018년(현종 9) 재차 전국적인 지방 행정 구역의 개편이 이루어졌다. 이때 하주하양현(河陽縣)으로 개칭되었으며, 장산군·자인현·구사부곡과 더불어 지금의 경주인 동경유수부(東京留守府)에 내속(來屬)되었다. 이로써 경산 지역의 여러 고을은 주읍(主邑)인 경주 지역의 통제를 받았다. 그런 가운데 고려 전기를 거치면서 중앙 정부의 통치권이 강화되고 예전에는 경제적으로 낙후되어 있던 속군(屬郡)·속현(屬縣)이 성장해 갔다. 이에 고려 정부는 지방관을 파견할 만한 속군·속현에 대한 감무(監務) 파견을 점진적으로 확대하였다. 1172년(명종 2) 장산군에 감무 파견이 이루어졌고, 비슷한 시기 하양현에도 감무가 두어졌다. 이로써 두 고을은 독립된 고을이 되었으나, 자인현은 고려 시대 동안 줄곧 경주의 속현으로 남아 있었다.

고려 후기에는 정치적 혼란 속에 인적 연고나 이해관계에 따라 읍격이 승강하거나, 읍명이 변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경산에서는 장산군(章山郡)의 변동이 빈번하였다. 장산군은 1308년(충선왕 복위 1) 복위한 충선왕(忠宣王)의 이름인 ‘장(璋)’과 비슷하다고 하여, 고을 명칭을 경산군(慶山郡)으로 개칭하였다. 1317년(충숙왕 4)에는 국사(國師) 일연(一然)의 고향이라 하여, 현령(縣令)을 파견하는 ‘현’으로 승격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에는 왕비인 순비 노씨(順妃盧氏)의 고향이라는 이유로 지군사(知郡事)를 파견하는 ‘군(郡)’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1392년 조선이 개창되면서 ‘현령’이 파견되는 경산현으로 강등되었다.

고려는 효율적인 지방 통치를 위해 중앙과 군현의 중간 단계인 광역 행정 구역을 두었다. 우선 고려는 신라와 후백제를 병합한 후, 신라 지역은 경주에 동남도 도부서사(東南道都部署使)를 두어 관할하였다. 오늘날 경산의 여러 고을도 여기에 소속되었다. 995년 행정구역 개편 때는 전국을 10도(道)로 재편하였는데, 경산 지역은 영동도(嶺東道)에 속하였다. 1106년(예종 1)에는 5도 양계(五道 兩界)로 재편되었을 때 경산은 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에 속하였다.

이후 경상도는 1171년(명종 1) 경상주도(慶尙州道), 1204년(신종 7) 상진안동도(尙晉安東道), 경상진안도(慶尙晉安道) 등을 거쳐, 1314년(충숙왕 1) 경상도(慶尙道)에 편제되었고, 이 제도가 조선까지 이어졌다.

고려 시대 각 고을의 하부 조직으로는 향(鄕)·소(所)·부곡(部曲) 등이 있다는 점이 조선 시대의 군현조직과 달랐다. 여기에는 별도의 향사(鄕司)·소사(所司)·부곡사(部曲司)가 있었고, 주읍의 통제를 받는 토착 세력인 향리들이 존재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전국 각 고을에 향·소·부곡이 광범위하게 분포했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명칭이 확인되고 위치가 비정되는 곳은 많지 않다. 구사부곡의 경우 고려 시대 동안 지속적으로 경주에 내속되어 있었으며, 장산군[경산군]과 자인현에는 향·소·부곡이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하양현의 경우 안심소(安心所)·양량촌부곡(陽良村部曲)·이지부곡(貍只部曲)이 있었다. 한편, 고려 중기부터 1335년(충숙왕 복위 4)까지 이지은소(梨旨銀所)가 존재하였다. 이지은소는 원래 ‘현’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정치적인 문제로 은(銀)을 바치는 ‘소’로 강등되었다. 그러다 1335년 원나라 황실의 내시인 나수(那壽)와 야선불화(也先不花)가 이 고을 출신이라고 하여, 이지현(梨旨縣)으로 승격되었다.

[토성 세력의 분포]

통일 신라 말기 지방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던 호족(豪族) 세력들은 고려 전기에 이르러 향리(鄕吏)로 재편되었다. 고려 전기 지방제도를 개편하는 과정에서 향리에 대한 직제·정원·공복·승진 규정이 마련되었고, 이들은 전시과(田柴科) 체제 아래에서 경제적으로 지원을 받았다. 고려 시대까지만 해도 중앙에 대한 지방의 통제력이 약한 편이었기 때문에 중앙의 행정력이 미치지 않은 곳에서는 향리들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고려 시대 향리 상층부를 장악한 토착세력은 토성(土姓)들이었다. 각 고을별 토성들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같은 조선 전기 편찬된 관찬지리지에 수록되어 있다.

경산 지역에도 토성 세력들이 많이 존재했다. 장산군[경산군]의 경우 토성으로 김(金)·전(全)·백(白)씨가 있었고, 내성(來姓)으로는 풍각(豐角)에서 온 노(魯)씨가 있었다. 속성(續姓)으로는 자인에서 온 박(朴)씨와 경주에서 온 정(鄭)씨가 있었다. 중국에서 귀화한 성[당투화성(唐投化姓)]도 있었는데 서(徐)와 유(劉)씨이다. 하양현의 토성으로는 허(許)·현(玄)·제(諸)·유(兪)씨가 있고, 속성은 경주에서 온 김(金)씨가 있었다. 자인현의 토성은 박(朴)·한(韓)·정(鄭)·주(周)이며, 속성으로는 진도(珍島)에서 온 임(任)씨와 가은(加恩)에서 온 변(邊)씨가 있었다.

향·소·부곡에도 토착 성씨가 존재하였다. 구사부곡의 토성은 정(鄭)·석(石)·조(曺)씨가 있었고 내성은 장산에서 온 전(全)씨가 있다. 안심소의 토성은 전(全)·신(申)·김(金)·박(朴)·허(許)·노(魯)씨이며, 이지은소는 속성으로 이(李)·윤(尹)·안(安)씨가 있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