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700524
한자 鎭川松斗里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물 산포지
지역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 157
시대 선사/선사,고대/고대
집필자 박중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생활 유적
소재지 주소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 157 지도보기

[정의]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송두리에 있는 구석기시대 생활 유적지.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송두리 유적은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서 시행한 진천-진천IC 도로 확장 및 포장공사 구간 내 구석기 유적에 대한 구제발굴[도로나 댐건설 등 유적파괴 사유 발생시 행하는 발굴]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송두리 유적의 발굴 조사 결과 모두 2개의 구석기 문화층이 확인되었다. 그 가운데 기반암 풍화층 바로 위에서 출토되는 제1문화층이 출토 유물의 수도 많고 중심이 되는 문화층으로, 유물 양상이나 퇴적으로 볼 때 중기 구석기 또는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 제2문화층은 유물 구성면에서 볼 때 후기 구석기 문화층으로 여겨지고 있다.

[출토유물]

송두리 유적에서 출토된 구석기 유물은 2,159점이며, 대부분이 석영맥암이나 규암질류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암질들, 특히 석영맥암은 유적지 주변에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종류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이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재료 돌들은 자갈 형태로, 유적 근처에 있는 미호천이나 백곡천 일대에서 반입된 것으로 보인다.

송두리 유적에서 확인된 2개의 문화층 가운데, 대부분의 구석기 유물이 제1문화층에서 출토되었기 때문에 이 유적의 구석기 문화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이 문화층이다. 송두리의 잔손질된 석기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자갈돌들을 손질한 큰 석기들이 발달한 점이다. 주먹도끼를 비롯하여 여러 면 석기·찍개 등이 대표적인 큰 석기로 꼽히며, 주먹찌르개와 주먹대패도 발견되었다. 특히 여러 면 석기는 인근 지역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많이 발견되어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현황]

송두리 유적미호천 유역을 배경으로 형성된 구석기시대의 한데유적 가운데 하나로, 인근의 장관리 유적[중기~후기 구석기], 청원 소로리 유적[중기~후기 구석기], 청주 봉명동 유적[중기~후기 구석기], 청주 율량동 유적[중기 구석기] 등과 유적 형성 시기와 석기 문화에서 비교가 된다. 그리고 대전 용호동 유적, 광주 삼리 유적과 문화적인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광주 삼리 유적은 진천 송두리 유적과 거리상으로 많이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석기 갖춤새가 진천 송두리 유적과 매우 흡사하여 주목된다.

[의의와 평가]

진천 송두리 유적은 그 동안 선사시대 유적의 조사가 미비했던 진천 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두 번째 유적으로 의미가 있다. 이 유적은 중부내륙지방에서 형성된 구석기 문화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고고학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한강 유역의 유적들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지역적 범위의 문화 양상에 대한 답변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송두리 유적의 구석기 유적의 분포 범위는 발굴 조사 지역 동쪽으로 계속되는 것으로 가늠된다.

게다가 인근 지역에 이미 발굴 조사된 장관리 유적이 있고, 상신리신정리 일대에서도 지표 조사를 통해 구석기 유물이 수습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일대에 상당한 규모의 구석기 문화가 발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송두리 유적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진천 지역에 발달하였던 구석기 문화의 규모와 성격이 좀 더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고*** 해당 지역의 정확한 명칭은 '진천 송두리 구석기 유적' 입니다. 확인 후 수정해주세요.
'진천 송두리 유적'이라고 하면 '충북대학교박물관, 1991, 「진천송두리유적발굴조사보고서」'에 있는 원삼국시대~일제강점기 시대 유적과 겹칩니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기하신 의견에 관한 자료를 보내주시면 검토후 반영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9.11
고*** 발굴조사를 통해 보고서된 출간된 거 같습니다. 그러면 '유적(일반)'이나 '터'로 분류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물 산포지는 지표조사를 통해 발견된 지역을 의미합니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9.11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