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611
한자 林穆
영어공식명칭 Im Mok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홍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71년(공민왕 20)연표보기 - 임목 출생
활동 시기/일시 1439년(세종 21) 추정 - 임목 금강변에 독락정 지음
몰년 시기/일시 1448년(세종 30)연표보기 - 임목 사망
묘소|단소 임목 묘소 - 충청남도 부여군
사당|배향지 기호서사[세덕사] -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지도보기
성격 문인
성별
본관 부안
대표 관직 양양도호부사

[정의]

조선 전기 세종 지역 출신 문인으로 금강 상류에 독락정을 짓고 여생을 보낸 인물.

[개설]

임목(林穆)[1371~1448]은 세종특별자치시에 세거하는 부안임씨 집안의 입향조 전서공 임난수의 둘째 아들이다.

말년에 고향인 금강 상류[현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에 독락정이란 정자를 짓고 여생을 보냈다.

[가계]

임목의 본관(本貫)은 부안(扶安)이며 아버지는 전서공 임난수(林蘭秀), 어머니는 용성부원군(龍城府院君) 최유(崔濡)의 딸이다. 4형제 중 둘째이다. 형은 임모(林摹), 동생은 임서(林叙)와 임흥(林興)이다.

[활동 사항]

임목은 태종조에 생원 진사가 되었고, 음사(蔭仕)[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하여 맡은 벼슬]로 승진하여 여러 고을 수령을 지내며 청렴 검소함을 지켰다. 비인감무(庇仁監務), 평양서윤(平壤庶尹)을 지냈는데 정사(政事)가 간결하고 청렴하였다고 한다. 음죽현감(陰竹縣監)으로 재임 중 처음으로 고을에 학교를 지었고, 홍주판관(洪州判官)으로 재임 중에는 어진 정치로 백성을 다스리고 교화하였다.

양양도호부사를 지내다가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아버지를 제향(祭享)[제사]하는 가묘를 짓고, 금강 상류에 정자를 세워 ‘독락(獨樂)’이라 하고 한가히 스스로 즐기며 여생을 보냈다. 후에 선비들이 기호서사를 세워 제향하였다.

[묘소]

임목의 묘는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제천리 양미골에 있었는데, 세종특별자치시의 개발로 충청남도 부여군으로 이장하였다.

[상훈과 추모]

독락정이 있던 곳에는 현재 나성동독락정역사공원이 건립되어 있으며, 공원 안에 기호서사도 복원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