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적색 농민 조합 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0478
한자 赤色農民組合運動
이칭/별칭 혁명적 농민 조합 운동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기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개 시기/일시 1930년 5월 - 해방 운동 영암 중앙부 결성으로 적색 농민 조합 운동 전개
전개 시기/일시 1932년 4월 - 영암 공산주의자 협의회 결성으로 적색 농민 조합 운동 전개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2년 6월 4일 - 적색 농민 조합 운동의 일환으로 영보정 사건 발생
전개 시기/일시 1934년 - 전남 운동 협의회의 조직 확대로 적색 농민 조합 운동 전개
성격 사회 운동
관련 인물/단체 해방 운동 영암 중앙부|전남 운동 협의회|영암 공산주의자 협의회

[정의]

1930년대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사회주의자들이 농민의 계급 의식 고취와 사회주의 운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조직하고자 한 혁명적 농민 조합 운동.

[개설]

1928년 12월 코민테른 집행 위원회 정치 서기국은 「조선 공산당 재조직에 관한 결정서」, 곧 12월 테제를 채택하였다. 이 12월 테제의 주된 내용은 ‘지식인을 중심으로 조직하려던 이전 방법을 버리고 공장·농촌으로 파고들어 가 노동자와 빈농을 조직해야 하며 민족 개량주의자들을 근로 대중으로부터 고립시켜야 한다.’라는 것이었다. 이후로 사회주의자들은 ‘아래로부터의 당 건설’을 원칙으로 삼았고 이를 위하여 먼저 노동자·농민이 중심이 된 혁명적 대중 조직을 건설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전라남도의 사회주의 운동은 군 단위의 혁명적 농민 조합, 즉 적색 농민 조합 건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특히 영암에서는 해방 운동 영암 중앙부, 영암 공산주의자 협의회, 전남 운동 협의회 등이 모두 적색 농민 조합 건설을 위한 운동 조직이었다.

[역사적 배경]

적색 농민 조합은 농민들의 일상적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는 것과 함께 농민들의 계급 의식을 고취하며 반제국주의·반자본주의적 사회주의 투쟁의 기반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당시 사회주의자들은 마을 단위의 농민반·부녀반·청소년반 등을 만들고 면 단위 조직으로 확대하고 최종적으로 군 단위 농민 조합을 조직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실제 농민 조합을 만들지는 못하였다.

[경과]

영암에서는 1930년 5월 최기동(崔基東)·최헌원(崔憲元)·곽명수(郭明秀) 등이 해방 운동 영암 중앙부를 결성하고 농민 조합을 결성하고자 했으나 최기동이 검거되어 실패했다. 이어서 곽명수(郭明洙)·김판권(金判權)·최판옥(崔判玉) 등이 1931년 이후 동창회·청년회·야학 등 기존의 합법적인 조직을 이용하여 적색 농민 조합을 건설하고자 했다. 이들은 1932년 4월 영암 공산주의자 협의회를 결성하고 마을 청년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강연회를 열고 야학을 개설하여 계급 의식을 고취하며 지주에 대한 대결 의식을 고취하였다. 특히 이들은 소작권 문제에 개입하여 소작권 이동을 막고자 1932년 6월 4일 영보리를 중심으로 덕진면 농민들이 소작권 쟁취를 위하여 소작인들의 집회를 열고 시위행진을 벌이기도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영보정 사건’이다. 하지만 이 사건은 영암 공산주의자 협회 지도부가 검거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1934년 해남과 완도를 중심으로 한 전남 운동 협의회가 조직을 확대하면서 영암에서도 광주 학생 운동으로 옥고를 치렀던 최규문(崔圭文)이 여기에 참가하여 영암군의 적색 농민 조합 건설 준비 위원회를 맡고 구림 지역을 중심으로 농민 조합을 결성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로는 전남 운동 협의회에 참가하였던 최규문·최병휘(崔秉輝)·채우동(蔡又童)·최기섭(崔棋燮) 등이 조선 총독부가 지원하는 농촌 진흥회에 들어가, 그 속에 있던 농촌 청년들을 농민 조합원으로 흡수하여 야경단을 만드는 등 관제 조직의 농촌 청년들을 규합하여 적색 농민 조합 운동을 지속하고자 하였다.

[결과]

1930년대 사회주의자들의 적색 농민 조합 운동은 농민들에게 식민 지배에 저항하고 그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록 마을 단위 운동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일제 경찰에 포착되어 실패로 돌아갔지만, 이들의 운동은 해방 이후 정치 지형의 형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