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객귀 물리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401562
한자 客鬼-
이칭/별칭 객구 물리기,객귀 물림,푸닥거리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전라남도 영암군
집필자 선영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의례|민간요법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주로 집안에 아픈 사람이 있을 때 행하는 의례.

[개설]

민간에서는 배가 아플 때 그것이 잡귀[객귀]가 들었기 때문이라 믿었다. 객귀 물리기는 그럴 때 행하는 치병 의식으로, ‘객구 물리기·객귀 물림·푸닥거리’라고도 한다.

객귀는 정처 없이 마을이나 거리를 방황하다가 관혼상제와 같은 비일상적인 행사나 사람들이 약해진 틈을 엿보아 침입한다. 마치 거지가 구걸 행각을 하는 것처럼 음식이 많은 잔치에 잘 나타난다. ‘색다른 헝겊’, ‘색다른 음식’에 잘 붙어서 인체 안으로 침입하면 병이 나는데, 이러한 병은 다른 병과 구별된다.

객귀로 말미암아 병이 생기면 이때는 갑자기 오한이 나며 입맛이 없다고 하는데, 남자가 여자보다 증세가 더 심하다고 한다. 이 상태를 흔히 객귀 들렸다고 하며, 이를 치료하고자 객귀 물리기나 푸닥거리를 한다. 이 의례는 주로 귀신이 두려워하고 싫어하는 주술적 민간요법을 통하여 객귀를 쫓는 것이 특징이다.

[절차]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행하던 객귀 물리기는 다음과 같다.

1. 시종면 옥야리 사례

집안사람이 건강이 좋지 않으면 객귀 잡신이 붙었다고 하여 바가지 안에 된장국·밥을 담아 환자 옆에 놓고 무속인이 뒤에 서서 경문과 주문을 외우면서 사람 머리 위를 칼로 휘두르고 동쪽으로 뻗은 복숭아 나뭇가지를 끊어다가 등·어깨·머리를 치고 부엌칼 끝을 땅에 찍어 칼 끝머리로 객귀를 대문 밖으로 몰아낸다.

2. 시종면 월롱리 원월롱 사례

운수가 사나우면 밖에 외출하였다가 객귀가 들릴 수 있다. 객귀가 들리면 귀신을 쫓고자 객귀 물리기를 한다. 무당이 와서 꽹과리나 무징[굿을 할 때 쓰는 작은 징], 장구 등을 치면서 객귀를 물릴 때, 처음에는 방에서 굿을 하다가 마당으로 이동한다. 마당 가운데에 객귀가 들린 사람을 앉혀 놓고 쪽박을 씌운 다음, 칼로 쪽박을 두드리고 나서 칼을 던진다. 칼을 던졌을 때 칼끝이 집 밖을 향해야 귀신이 나간 것이고, 안을 향하면 나갈 때까지 던져서 객귀를 물린다. 자기 집의 식칼을 사용하거나 세 성바지 집[보통 가장·아내·며느리 등 세 가지 성씨가 함께 사는 집]에서 얻어다가 쓰기도 한다.

3. 신북면 유곡리의 원유곡·옥정 마을 사례

집안에 아픈 사람이 있고 객귀가 들렸다고 보이면 점쟁이를 데려다가 점을 본다. 점쟁이가 굿을 하라고 하면 무당을 데려다가 굿으로 객귀를 쫓게 된다. 굿을 하면서 귀신을 빈 병에 집어넣는데, 귀신이 안 들어가려고 움직이며 “삐삐삐~” 하는 소리를 낸다고 한다. 귀신이 들어간 병은 사람이 다니지 않는 곳에 깊이 파묻는다. 그 병이 깨지면 가둔 귀신이 다시 나와 큰일이 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